소설의 순간들 - 박금산 소설집
박금산 지음 / 비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개봉해 많은 사랑을 받았던 영화가 있다. 「극한직업」라는 제목이었는데 영화관에서 보고 최근 TV에서 재방해주는 것을 보았는데 다시 봐도 재미있었다. 같은 코미디적 요소에 웃고 다음 에피소드를 기대했다. 그 영화의 유명한 명대사가 '이것은 갈비인가, 통닭인가'였다. 이 대사는 많은 분야에서 인용되었다. 그래서 나도 한번 외쳐본다. 이것은 소설론인가, 소설인가!

 

소설의 순간들을 발단, 전개, 절정, 결말에 구분 짓고, 그 속에 소설을 삽입한 형태의 소설집이다. 즉 소설론이기도 하고 소설집이기도 하다는 것. 9회 말 투 아웃 만루 상황의 야구를 염두에 두고 투수는 타자를 잡을 방법을 두고 공을 던져야 하는데 타자의 반응이 예상되어 있는 공을 던져야 하는 것이 발단이라고 표현했다. 이야기의 시작점이다. 소설의 전개는 역시 9회 말 투 아웃 만루 상황인 점은 똑같으나 서핑으로 보았을 때 서핑 보드에 올라서는 과정이라는 점이다. 절정이 소설의 전부 임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좋은 절정은 다른 생각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클라이막스를 떠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제 마지막 결말 부분이다. 좋은 결말은 외길이다. 절정이 훌륭하면 훌륭할수록 결말로 가는 길은 좁고 분명하다. 절정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이 좋은 결말인 것이다.

 

이 책속에서 언급하는 소설론을 보고 있자니 오래전에 소설을 써볼까 하여 두께가 꽤 있는 원고지 묶음을 사다놓고 한 페이지를 넘기지 못했던 기억을 떠올렸다. 소설 작법을 제대로 공부하지도 않았으면서 호기롭게 도전을 하겠다고 했는지 지금 생각해보면 꽤 부끄러운 경험이다. 그리고 나서 생각한 건 나는 역시 소설을 쓰는 것보다 읽는 게 더 좋다는 것이다.

 

 

 

글을 쓰는 사람들이 많아져 소위 1인 출판 혹은 독립 출판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자신 만의 책을 갖는 것이 소원인 사람이 많다는 말이다. 대학의 문예창작을 가르치는 교수로, 여러 편의 작품을 가지고 있는 소설가로도 활동한다. 작가의 작품을 읽은 기억이 없기 때문에 내게는 생소한 작가였다. 그러나 단편들을 읽으면서 작가에 대한 호감이 생겼다. 소설을 주로 읽는 독자로서 느낌이란 게 있다. 첫 문장에서 느껴지는 묘한 감정. 다른 말로 글맛이라고 해도 되겠다. 그러한 감정을 갖게 되면 나도 모르게 빙긋거리며 소설을 기대하게 된다. 즉 즐거운 마음으로 읽게 된다는 말이다.  

 

전체적으로 유쾌한 소설이었다. 다양한 주제로 다양한 인물들을 말했다. 마치 에세이처럼 짧은 단편들이어서 다음 편에서는 어떤 내용이 나올까 호기심이 생겼다. 「소설을 잘 쓰려면」이라는 단편은 한 편의 소설을 쓰고 그걸 지도 교수에게 가지고 가서 대화하는 내용이다. 즉 소설이란 어떻게 써야하는가, 인데, 교수의 말은 꽤 의미심장하다. 줄기가 흥미를 끌고 디테일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는 소설이어야 진짜 소설임. 짧게 쓸 것. 한 마디로 줄여 말할 수 있어야 진정한 소설이며 재미있어야 영원한 소설이라는 것이다.  

 

맞다. 소설이란 재미있어야 한다. 시처럼 문장을 응축하여 쓰는 게 단편이라고 했는데, 아무리 유수의 문학상을 받았더라도 재미없으면 독자는 작품을 읽지 않는다.  소설론 속에 소설이 들어있는 형태이며, 발단, 전개, 절정, 결말로 나뉘어 부분별로 소설이 수록되어 소설이란 이런 것이라는 것을 일깨우게 한다. 무엇보다 소설이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