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에 돌아가신 엄마의 자료가 도서관의 마인드에 저장되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소설에서처럼 살아온 궤적을 도서관에 저장할 수 있다면. 오래도록 병원에 누워계시다 가신 탓에 제대로 된 사진이 없어도 괜찮지 않을까. 돌아가시기 전 사진이 너무 아파 보여 싫은데 엄마의 삶이 도서관에서 꺼내어 볼 수 있다면 다행이라 여기지 않을까. 

 

수많은 소설에서 나타났지만 우울증이든 다른 이유로 아픈 엄마였을때 엄마와의 기억은 제대로 간직하고 있지 못하다. 오래도록 꺼내보지 않다가 문득 사무치게 보고 싶은 마음에 기억들을 떠올려보지만 엄마가 살아왔던 삶을 제대로 알기란 어렵다. 내게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에야 엄마의 삶을 조금쯤은 이해하게 된다. 「관내분실」이라는 단편에서처럼 지민이 임신한 상태에서 엄마의 흔적들을 찾기 시작했던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오래전에 상상했던 미래는 유토피아에 가까웠다. 하지만 영화나 소설에서 나타난 미래는 디스토피아에 가깝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 사이로 인간과 사이보그 사이에서 살아가는 모습은 꽤 우울하다. 물과 식량이 부족해 먹을 것을 찾아 떠나는 자들과 그들 위에 군림하는 자들을 나타내는 내용들은 많다. 그럼에도 다행이다 싶은 건, 그러한 상황에서도 진정한 휴머니즘을 다룬다는 것이다.

 

 

 

김초엽의 소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그러한 우리의 우려와는 달리 좀더 가까운 미래를 과학적인 발전 위에 있는 것으로서 본 것 같았다. 일곱 편의 소설에서 다양한 이야기들을 다루며 우리가 상상해볼 수 있는 미래를 예감한다. 부정적인 면보다는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켜 미래에도 여전할 우리의 관계과 감정들을 말하고 있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혹은 미래의 어느 순간이 와도 가족 관계는 변할 수 없는 법인가 보다. 갈등 관계에서 화해의 방법을 찾아가는 것.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도 결국 내가 그 사람을 이해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야 하지 않겠나.

 

언젠가는 우리도 우주여행을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막상 우주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우주의 신비를 직접 눈으로 보고 느끼는 것 만큼 중요한 것도 없지만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에서처럼 100여 년 동안 우주정거장에서 슬렌포니아 행성계로 떠날 우주선을 기다리는 안나 씨의 사연은 자못 안타깝다. 우주 과학 연구를 하다 가족과 함께할 삶을 놓친 노인의 이야기는 오늘의 우리에게 일침을 가하는 듯 하다. 언제든 떠날 준비를 하고 있는 백일흔 살의 안나에게 슬렌포니아에 언젠가는 도착할 수 있을까.

 

낡은 셔틀에는 아주 오래된 가속 장치와 작은 연료통 외에는 붙어 있는 게 없었다. 아무리 가속하더라도, 빛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다. 한참을 가도 그녀가 가고자 했던 곳에는 닿지 못할 것이다. (187페이지,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중에서)

 

지극히 현실주의자인 내게 우주의 「스펙트럼」을 이해하기란 몹시 어려운 일이다. 우주 어딘가에 있을 우주 생명체를 탐사하기 위해 우주로 향했던 생물학자 할머니는 40년이 지나서야 구조되었다. 이 소설 또한 작가의 상상력의 산물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 구조되었을 것이다. 또한 외계 생명체 루이와의 기억 또한. 이 부분에서는 영화 「그래비티」의 장면이 떠올랐다. 우주선 밖으로 향하는 순간 한 점의 먼지가 되어 사라지고 말테지만 소설 속에서는 외계 생명체로부터 보호를 받고 루이의 기억을 간직한 몇 명의 루이 때문에 살아남아 손녀에게 그 기억들을 말하는 부분은 할머니가 손녀딸에게 들려주는 옛날 이야기와도 같다. 무릎을 베고 들었던 할머니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많은 에피소드는 결국 할머니의 상상력이었으므로.

 

 

정말로 지구가 그렇게 고통스러운 곳이라면, 우리가 그곳에서 배우게 되는 것이 오직 삶의 불행한 이면이라면, 왜 떠난 순례자들은 돌아오지 않을까?

그들은 왜 지구에 남을까? 이 아름다운 마을을 떠나, 보호와 평화를 벗어나, 그렇게 끔찍하고 외롭고 쓸쓸한 풍경을 보고도 왜 여기가 아닌 그 세계를 선택할까? (51~52페이지,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중에서) 

 

릴리 다우드나를 찾아 지구를 찾아왔던 데이지의 고백으로 읽는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를 본다. 그토록 아름답고 평화스러운 곳이라고 해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가 아니라면 영원히 사는 것에 무슨 의미가 있겠나. 영원히 삶을 살 수 있는 걸 포기하고 고통과 불행이 있는 삶을 선택해 죽음에 이르는가의 이유를 설명한 글이었다.

 

우리가 우주로 떠날 수 있어도 기꺼이 지구에서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이유도 결국 사람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살아갈 진정한 이유를 깨달았기 때문이 아닐까. 디스토피아 적인 미래지만 그러나 유토피아를 향한 희망을 잃지 말자는 메시지로 읽혔다. 아무리 고통스러워도 삶의 이유를 찾아 오늘을 살아가고 있다. 한줄기 햇빛 같은 희망 한 조각을 기대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