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1 : 태조 - 혁명의 대업을 이루다 조선왕조실록 1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조실록은 사관들의 기록이다. 왕조차 어떠한 사실을 사관에게 알리지 말라고 할 정도로 사관들이 작성한 기록물이다. 이런 기록은 전세계적으로 드문 일이다. 조선왕조실록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은 어쩌면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왕의 기침소리 하나까지 작성했던 기록물을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게 수많은 드라마로도 각색되었고, 저자의 시선에 따라 책으로도 출간되었다. 독자들은 유달리 좋아하는 왕의 이야기는 더 찾아 보았을테고, 조선이 개국한 태조 이성계의 이야기부터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까지 체계적으로 다룬 글을 읽은 사람은 드물 것이다. 역사학자 이덕일이 조선왕조실록을 전 10권에 걸쳐 출간되는 건 무척 반가운 일이다.

 

조선왕조실록의 시작은 태조 이성계다. 기울어가는 고려말, 변방의 장수였던 그가 정도전을 만나 새로운 나라를 건설할 꿈을 꾸었다. 개혁가 정도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아무래도 역사 드라마를 보았던 느낌을 떠올리며 이 글을 읽을 수 밖에 없었는데, 드라마의 힘이 컸다는 사실을 밝히고 싶다. 책으로도 좋아했지만 드라마처럼 내용들이 쏙쏙 머릿속에 각인되는 경우는 드물다.

 

태조 이성계의  개국에 대한 꿈은 개국의 설계사 정도전을 만나면서 부터라고 말했다. 혼란의 고려, 공민왕의 정치와 그 뒤를 잇는 우왕과 창왕의 근본을 파헤쳤다. 우왕과 창왕을 왕씨의 자손이 아닌 신돈의 아들이라는 '우창비왕설'을 조선 건국의 정당성으로 삼았다.(112페이지) 이는 정도전의 계획하게 이뤄졌던 일이다.

 

 

 

먼지 낀 책상 위의 병법서를 폐해버린 정도전은 이성계를 찾아갔다. 정도전의 머릿속에는 천 리 밖 계책을 결정지을 수 있는 지식이 있었고, 이성계에게는 그 계책을 실현시킬 수 있는 군사력이 있었다. 이성계는 일곱 살 어린 정도전을 기꺼이 스승으로 삼았다. 정도전은 이성계의 신하이자 스승이었고, 이성계는 정도전의 군주이자 제자였다. 두 사람의 만남은 그 자체로 고려 왕조를 폭풍 속으로 몰고 갈 조짐이었다. (145페이지) 

 

책은 총 3부에 걸쳐서 진행되는데, 1부는 흔들리는 왕토에서라는 제목으로 고려 말의 정치 상황들에서 새로운 인물로 떠오르는 이성계의 발자취를 나타냈다. 아울로 유배지를 떠돌던 정도전이 지나온 이야기는 당연한 일이다. 2부는 머나먼 개국의 길이 이어진다.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감행하고, 새로운 인물로 떠오르는 이성계를 경계하고 그를 제거하고자는 하는 인물들이 나타난다. 이색과 정몽주와 이성계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위화도 회군 당시에는 이성계의 편에 섰지만 정몽주가 바랐던 것은 고려를 지키고자 함이었다.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함이 아니었다.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했던 정몽주였다.

 

조선 개국에 앞장 섰던 이방원이 왕위에 욕심이 있었던 건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다. 이성계를 왕위에 올리고 자신이 세자가 되는 꿈을 꿨겠지. 정도전은 이성계의 둘째 부인 강씨의 소생이기도 한 방석을 세자로 세웠다. 이에 불만을 품은 이방원은 정도전을 죽이고 이방과를 세자에 앉혔다.정도전은 이방원의 이상을 경계했다. 개국 계획에는 동조했으나 자신들이 펼치고 싶은 정치적 이상은 달랐던 것이다. 정도전은 백성들을 위한 나라, 천자의 제국을 만드는 꿈을 꾸었었고, 이방원은 왕권 강화에 더 역점을 두었다.

 

 

 

미래의 길이 보이지 않을 때일수록 과거를 돌아봐야 한다. 과거를 돌아보는 목적은 미래의 길을 찾고자 함이다. 역사가 과거학이 아니라 미래학인 까닭이 여기에 있고,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목적도 여기에 있다. 옛 사람들이 <자치통감>이나 <동국통감>처럼 역사서의 제목에 거울 감(鑑)자를 넣은 이유 역시 역사라는 거울을 통해 오늘의 우리의 지금 모습을 살피고 미래의 길을 찾고자 함이었다. (10페이지, 들어가는 말 중에서)

 

수없이 드라마로 방영되었고 역사서로 반복 출간된 이유는 우리가 미래에 나아가고자 함이다. 과거를 알아야 현재와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는 건 전부터 자주 들어왔던 말이다. 드라마처럼 한 인물의 시점에서 바라본 개국 과정과 역사서의 전체를 아우르는 조선의 개국 역사는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다. 사관의 시선으로 역사를 바라볼 수 있게 했다. 역사서라고 해서 어렵지 않다. 누구라도 읽기 쉽게 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