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 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사 김정희를 본격적으로 알게 된 게 안대회 선생의 『세한도』였다. 물론 다른 동양미술 관련 책에서도 자주 봐왔지만, 그 책에서 이상적과 얽힌 이야기를 읽으며 그의 그림을 좀더 살펴봐야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최근에 유홍준의 『안목』를 읽으며 다시금 추사에 대한 글과 그림이 궁금했던 터에 유홍준의 『추사 김정희』는 그런 나의 목마름을 채워주는 듯 했다. 더군다나 그의 생애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한 책이다. 이 책은 저자가 오래전에 펴냈던 『완당평전』을 새롭게 펴낸 책이라고 봐도 옳다. 오류를 수정하고 독자들이 읽기 쉽게 전기 문학 형식으로 펴냈기 때문이다. 

 

이번 기회에 알게 된 사실이 추사 김정희가 노론의 골수 집안이었으며 영조의 정순왕후가 추사의 12촌 대고모이기도 했다는 사실이다. 그의 영특함을 미리 알아보았던 박제가는 추사를 제자로 삼았고, 아버지와 함께 청나라 연경으로 가 그곳의 문인들과 교류하였다. 특히 완원을 스승으로 모시겠다는 뜻을 세워 아호를 완당이라고 했고, 당대의 금석학자이자 서예가, 경학의 대가로 자부하는 연경 학계의 원로인 옹방강과도 교류하였다.  

 

 

일본의 대표적인 동양철학자인 후지쓰카 지카시는 조선 후기 북학파 학자들이 청나라와 교류한 실상과 추사가 연경에서 벌인 활약상을 치밀한 고증으로 밝혀낸 사람이다. 그는 고서점가를 뒤지며 자료를 찾았고 추사 사후 최초의 대규모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후지쓰카는 추사의 주변 인물들이 청나라 학자들과 교유한 구체적인 내용을 소상히 규명한 논문을 계속 발표했고, 추사가 청조 고증학과 경학의 업적을 집대성해놓았고도 말했다. 

 

청조학 연구의 제일인자는 추사 김정희이다. (45페이지) 라고 했다.

 

우리가 추사 김정희하면, 그의 글씨인 추사체만 기억하고 있기 쉽다. 하지만 그는 금석학, 역사지리학, 고증학, 언어학, 차와 불교학, 금강안, 미술사가에도 뛰어났다. 저자는 추사의 많은 작품을 추려내어 수록해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했다. 또한 한문으로 된 추사의 글을 한글로 풀이해 그 맛을 더한다.

 

 

추사에게는 많은 벗과 제자들이 있었는데 그 이름들을 보자면 다음과 같다. 이재 권돈인, 자하 신위, 눌인 조광진, 우봉 조희룡, 황산 김유근, 초의 스님, 소치, 붓을 잘 만드는 박혜백, 전각을 잘하는 오귀일, 먹동이라고 불린 달준이, 장황장 유명훈 까지. 이들은 추사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고 그를 무척 아꼈다.

 

언젠가 TV 채널에서 <차이나는 클라스>라는 프로그램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 평소 좋아하는 유홍준 교수가 출연해 추사 김정희에 대해 강의하고 있었다. 제주에서 유배 당시 부인과 아들에게 보냈던 편지를 읽어주는데 무척 애틋했다. 무릇 사소한 사이에서 편지로 쓰는 글씨가 그 사람의 평소 글씨체라고 한다. 이렇듯 추사 또한 지인들에게 편지를 쓰는데 종이나 먹, 붓에 대한 타박 아닌 타박, 먹을 것에 대한 이야기 들을 하는 과정에서 추사의 글씨와 그의 성격이 드러났다. 그만큼 가까운 사이이기에 무얼 보내달라고 했을 테고 푸념도 했을 터다.

 

한 서예가의 글씨가 변해가는 과정은 무엇보다도 편지 글씨와 해서 작품에 가장 잘 나타난다. 편지란 작품이라는 의식을 갖지 않고 쓴 것이기 때문에 그 서예가의 필법이 거짓 없이 드러나며, 해서 작품에는 그렇게 변화된 결과가 구체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214페이지)

 

 

추사는 오만할 정도로 자신만만했고, 성격도 대단히 까다로웠다고 한다. 추사의 철저한 완벽주의 때문에 김우명이나 윤상도에 의해 탄핵 상소를 하게 만들었다. 그렇게 된 연유로 제주로 9년 가까이 유배생활을 했던 터다. 제주에서 귀양살이를 하며 에술적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다고도 한다. 제주 귀양살이 이후 추사체가 태어났다는 것이 정설이라고도 한다.

 

죽는 순간까지 학문과 예술에 대한 추사의 열정은 식지 않았다. 추사의 만년을 건강하게 지켜준 것은 공부하는 행복, 제자를 가르치는 즐거움, 예술에 전념하는 열정이었다. 그 중 공부하는 행복이 제일 컸다고 한다. (485페이지)

 

 

 

 

유홍준은 이 책을 추사 김정희에 대한 인간적 삶에 부쳐 문학적 형식으로 썼다고 했다. 독자들이 가깝게 여겨지는 추사 김정희. 우리는 이 책으로 추사의 삶과 그의 학문적, 예술적 경지를 엿보게 된다. 물론 인간적으로 보자면 완벽한 사람은 아니었을 것이다. 아주 나중에야 자신이 함부로 뱉었던 평가를 뒤집어 용서를 구했던 것을 봐도 그렇다.

 

유홍준의 책을 읽다보면 우리나라의 문화예술품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감탄하게 된다. 그가 바라본 문화 예술과 작품으로 바라보는 작가의 모습과 역사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 책에서도 말했지만 안목이 있는 수장가들이 있어 세한도도 지켜냈지 않은가. 유홍준이 바라보는 시선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