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 대한 예의
권석천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에 대한 예의>는 이상한 책이었다. 아주 친숙한 소재로 시작된 이야기에 마음 놓고 공감하며 읽다가 갑자기 확 나 자신이 낯설어졌다. 그런 순간이 자주 있었다.


언론인으로서 시민으로서 그냥 한 명의 사람으로서, 저자 권석천의 지나치게 솔직한 고백들이 곳곳에서 튀어나왔다. ‘이러다 잘리면 어쩌시려고?’, ‘이런 치부까지 굳이?’라고 묻고 싶을 만큼, 읽는 내가 다 걱정이 되는 솔직함이었다. 그런데 그 솔직함이 자꾸 거울처럼 나를 비췄다. 자, 당신도 좀 들여다보라고, 당신은 지금 어떠냐고,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어떻게 해야 하냐고, 책의 형상을 한 거울이 자꾸만 말을 걸어왔다.


책을 읽지 않는 동안에도 자꾸만 제목이 떠올랐다. 사람에 대한 예의, 사람에 대한 예의... 우리는 여전히 무례하지만, 사람에 대한 예의를 지키는데 이렇게나 자주 실패하지만, 그래도 다시 예의를 차려보자는 목소리가 나를 따라다녔다. 그 목소리는 절대로 “세상이 그러니 어쩔 수 없지 않느냐”고, “대충 타협하자”고 말하지 않았다. 뼈아픈 자각 후에만 얻어지는 것들이 있다고, 내 비루한 현실을 인식한 뒤 찾아오는 그 부끄러움을 힘으로 우리 사람답게 살자고 계속 말을 건넸다. 아주 쉽고 부드럽게, 심지어 재미있게.


솔직히 말하자면 1967년생, 만 53세인 아저씨의 글에서 영화 ‘꿈의 제인’과 ‘우리들’ 이야기가 나올 줄은 몰랐다. JTBC 보도국장과 중앙일보 논설위원을 거쳤다는 이 아저씨도 나처럼 TV드라마(동백꽃 필 무렵)에서 인생의 교훈을 얻을 줄이야.

__

"어디를 가나 ‘까불이’들은 있다. 그 까불이들과 공존해야 하는 세상에서 남이 불편할까 봐 나를 낮추는 것도, 붙어보기 전에 도망치는 것도 정답이 아니다. “니들 다 까불지 마라” 하고 외치고, “사람 봐가면서 까부시라”고 말해야 한다. 비록 목소리는 바르르 떨리고, 다리는 후들거리더라도." (199쪽)

__

책의 후반부에는 웬 소설 같은 글들이 여러 편 나오는데, 읽는 사람은 좀 갸우뚱해지는 글이었지만 쓴 사람이 정말 재미있게 썼구나 싶었다. 저널리스트로서의 예리함과 동시에 “조용히 책 읽고 영화 보며 지내고 싶은 것이 오랜 꿈”인 사람의 순수한 애정이 곳곳에 담겨 있어서, 단호한 마침표와 소심한 말줄임표가 자유자재로 섞여 있어서 지루함 없이 읽었다. 아니, 무척 좋았다. 이런 좋은 글을 쓰는 사람은 대체 어떻게 생겼나 궁금한 마음에 ‘권석천’이라는 이름을 검색해볼 정도로.


세상에, 누군지도 몰랐던 50대 기자 아저씨의 글을 읽었을 뿐인데 만나서 오래 수다 떨고 싶은 마음이 생길 줄이야. 정말 이상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