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켜진 사무실 법칙
김종원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나는 야근 없는 회사에 다닌다. 야근 자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야근을 강요하지 않고, 퇴근 후 자기 계발에 시간을 투자하는 직원들이 많은 회사. 이런 기업 문화 속에서도 이상하게 내가 일하는 팀은 야근을 자주 한다. 하지만 야근을 자주 하는 것을 문제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 오히려 야근은 곧 열심히 일하는 것이라 생각하며 자발적으로 야근하는 스스로를 대견하게 여기기까지 했다. 그런 내게 불 켜진 사무실을 만드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아니 아주 심각한 문제임을 처음으로 알게 해준 책, 바로 <불 켜진 사무실 법칙>(경덕출판사. 2007)이다.

 

전혀 특별하지 않은 책

실용서를 많이 읽은 사람들에게 이 책은 전혀 특별하지 않다. 매끄럽지 못한 문장과 중간중간 눈에 거슬리는 오탈자에 가끔 짜증이 나기도 한다. 하지만 초점이 분명하다. 야근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야근을 하지 않고도 맡은 업무를 해낼 수 있도록 독자에게 좋은 습관들을 안내한다. 책을 읽는 동안 조금은 객관적으로 라는 직장인을 들여다 볼 수 있다.

 

하지만 거울처럼 우리 자신을 비추는 책

이 책의 저자는 불 켜진 사무실에 주목하라고 한다. 야근으로 밤에도 불을 켜는 직원들이 결코 생산성이 높지 않다고, 그런 직원들로 가득한 조직은 절대 원활하게 굴러나갈 수 없다고 말한다. 뜨끔했다. 365일 중 300일은 야근을 하고 정작 업무 시간에는 집중력 있게 일하지 못하는 상사를 보며, 난 절대 그런 식으로 일하지 않겠다 다짐했었다. 이 책은 거울이 되어 어느새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내 모습을 비추고 있었다. , 정신차리자!

 

타협하지 말고, 80%만 쏟아라

좀 더 빨리 끝낼 수 있지만 쉬엄쉬엄 틈을 보는 타협, 새로운 방법을 시도할 수 있지만 익숙한 것을 택하고 마는 타협. 이런 저런 타협에 길들여져 어느새 나는 비생산적인 직원이 되어 버린 것은 아닐까? 스스로에 대한 착각으로 행동보다 말이 앞선 사람이 되고 만 것 같아 시종일관 마음 한 구석이 따끔거렸다.

 

이 책의 핵심을 가장 잘 보여주었던 것은 회사에는 가진 힘의 80%만 쏟아라 라는 제목으로 구성된 25장의 내용이다. 회사를 위해서는 80%만 일하고, 나머지 20%는 자기 자신을 위해 사용하라는 말이다. 매일 밤 야근해가며 회사에 엉덩이만 붙이고 있지 말고, 퇴근 전에 집중해서 퇴근 후 시간은 온전히 자기 자신을 위해 투자하는 직원이 될 것! 결국 이 책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책이다. 야근을 하지 않기 위해 좀 더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법, 당장 깨부숴야 할 고정관념들에 대해 저자는 독자와 함께 고민한다. 강렬한 붉은색 커버부터 에필로그까지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책이다.  

 

 

사람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회사에는 미래가 없다. 자기 자신을 위한 20%는 행복한 가정생활과 건강관리 및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치이다. 월급쟁이는 몸이 유일한 자산이다. 회사 일을 열심히 할 때는 좋아하지만 무리하다가 몸이 망가지면 당신은 애물단지가 된다. 단기간에 건강이 회복되지 않으면 어떤 결과가 오는지 잘 알고 있지 않는가? (1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