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매혹적인 죽음의 역사
기류 미사오 지음, 김성기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여기 누군가의 죽음으로 태어난 책이 있다. <알고 보면 매혹적인 죽음의 역사>(노블마인. 2007>라는 모순적인 이름을 달고, 인간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가득 담아 나온 책. 왜 하필 죽음 앞에 매혹적이라는 수식어를 달았을까? 끔찍하고 참혹하다. 억울하다. 때로는 탐욕과 집착으로 얼룩져 있다. 어처구니 없어 실소가 나오기도 한다. 결코 매혹적이지 않은 죽음들이란 말이다. 하지만 여기 중요한 단서가 있다. 알고 보면이라는 단서. 책을 다 읽은 후에야 제목의 중심점이 거기에 있다는 걸 알았다.
 
단순히 살고 죽는 문제가 아니다. 그들의 삶과 죽음에 무엇이 관여하고 있는가에 주목할 때, 이 책은 우리에게 전혀 다른 이야기를 들려 준다. 에로스, 욕망, 집착과 관련되어 있는 죽음. 우리는 평생 에로스와 욕망의 늪에서 허우적댄다. 벗어나려 안간힘을 쓸수록 더욱 품고 싶어져 결국 제 발로 그 속에 걸어 들어간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꽤 많은 증거들을 들이밀며 죽음과 에로스의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입증하려 한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죽음에 한없이 가까운 에로스, 혹은 에로스에 한없이 가까운 죽음이다. 에로스와 욕망, 집착이 내뿜는 마력을 뿌리치지 못한 과거의 인물들은 결국 죽음의 역사 속에 한 줄 기록으로 남았다. 현재를 사는 우리 또한, 에로스가 넘쳐나는 삶 속에서 매 순간 죽음의 그림자를 본다.
 
이 책에 나는 다른 이름을 붙이고 싶다. 저자는 당시의 죽음을 묘사할 때 종종 현재 시제를사용한다. 많은 시간이 흘러 이제는 별 의미도 없는 죽음, 잊혀지고 기억된 적 조차 없는 죽음들을 우리 눈 앞에 끌어와 생중계한다. 자살률 세계 1위의 나라 한국에 살고 있는, 죽음에 대한 반응이 점점 무뎌지는 나란 인간. 하지만 저자의 사실적인 서술과 세부적인 묘사로 인해 그 감각들은 예민해진다. 누군가의 처절한 죽음을 또 다른 누군가는 이토록 치밀하게 관찰, 기록해 두었다는 사실. 몸서리치게 끔찍하다. 알고 보면 매혹적인 기록의 역사.
 
여기 인간이 있다. 그 인간과 또 다른 인간이 있다. 각자 그리고 서로, 에로스와 욕망을 추구한다. 집착을 붙들고 놓지 못한다. 죽음의 그림자를 본다. 죽음을 맞이 한다. 또는 죽임을 당한다. 죽음을 관찰한다. 죽음을 기록한다. 기록을 남긴다. 남겨진 기록을 끄집어 낸다. 그 안에서 의미를 쥐어 짠다. 과거의 죽음이 다시 살아난다. 알고 보면 지독한 기록의 역사다. 과거나 지금이나, 죽음의 모습과 그에 얽힌 인간의 에로스와 욕망은 별반 다를 게 없다. 이 사실이 더 지독하고 끔찍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