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은 나름의 운명을 지닌다
표정훈 지음 / 궁리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탐서주의자 표정훈
예전에 그의 <탐서주의자의 책>(마음산책, http://blog.aladin.co.kr/hendrix/1780997) 을 읽었었던 기억으로, 이 책을 집었다. 책을 좋아하는 친구와 서점에 갔지만, 이래저래 방황하고 있었기에 선택의 시간을 재촉하는 분위기에 휩쓸려 그냥 집었다. 보통 내가 책을 사려할 때 고민하는 몇 가지 요소가 있는데.
먼저, 그 내용이겠고, 둘째로 저자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려하는 건 출판사인데, 이 책의 경우는 내용에 압도되었다기 보다는 저자에 대한 믿음에서 집은 책에 속한다. 번역서의 경우에는 출판사가 두번째에 이르게 되는데, 보통 단단한 번역을 허락하는 몇몇 출판사가 아니면, 한참을 읽어보고야 책을 사게 된다. 정말 그 책의 번역이 오로지 한 출판사에서 나온 한 판본에만 있을 경우가 아니라면야, 쉽게 책을 고르지는 못하는 것 같다. 번역자에 대한 믿음이 있을 경우는 물론 제외겠지?
표정훈은 확실히 탐서주의자이다. 그의 장서량에서도 그렇고(대략 5000여권?), 책에 대한 그의 집착이 그렇고, 책을 만날 때의 접근 법이 그렇다.
|
|
|
|
엽기적이라고 받아들일 분도 있을지 모르지만, 나는 새로 나온 책을 구입하거나 증정받았을 때, 제일 먼저 책을 펼쳐 킁킁거리며 냄새를 맡는다. 책마다 그 나름의 냄새가 있기 마련이다(p.17).
|
|
|
|
|
사실 누구나 그 냄새를 맡고서, 즉각적인 반응을 취하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그것을 정돈하여 하나의 양상으로 인지하는 것은 아무나 하는 일이 아니다. 나 역시 책의 냄새를 맡는데, 난 좀 오래된 책의 '삭은 냄새'도 좋아하는 편이다. 하지만, 아직 그리 고전적이지는 않아서 역시 가장 좋은 건 약간의 '향'을 첨가한 책의 냄새이다.
|
|
|
|
책사냥꾼들이 있다.
책사냥꾼이 보통의 사냥꾼들과 다른 점은, 사실상 일상 생활의 모든 장면들 속에서 사냥감을 물색하는 안테나를 접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신문을 비롯한 각종 언론 매체는 물론이거니와, 오랫만에 방문한 친구집 서가라든가, 약속 시간보다 일찍 약속 장소에 도착했을 때 눈에 들어오는 주변의 서점이라든가, 지하철 옆자리에 앉은 사람이 읽고 있는 책이라든가, 버리지 않고 쌓아둔 몇 년 전 신문더미라든가....(p.36).
문자 금단 현상, 구체적으로 말하면 신문도 들어오지 않고 변변한 책이나 책방 하나 없는 산골에서 사흘 이상을 견디지 못하는, 일종의 문명병이라고 할 수 있을 법도 하다. 사실상 치유 불능에 가까운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에게 내릴 수 있는 처방 아닌 처방은 아마도, 병원에서조차 치료를 포기한 시한부 말기 암환자 가족에게 의사가 건네는 이런 말밖에 없을 것 같다. "집에 모시고 가서 드시고 싶은 것 마음껏 드시게 하십시오."(p.40)
|
|
|
|
|
이런 사람이기 때문에, 책을 읽고, 많이 책을 사는 사람들에게 있어 그의 충고는 굉장히 실용적인 도움이 된다. 그의 서가 정리에 대한 기억들이 우리-책벌레에게는 추억담이 될 것이고, 그의 책 소비에 대한 이야기는 항상 카드명세서에서 '서점'으로 채워진 부분을 볼 때느끼는 약간의 '지름신'에 대한 망연자실 그리고 또 다시 이어지는 '서점 러시'에 대한 '습벽'의 기억을 떠올리게 할 것이다. 하지만 정말 '책벌레' 계보로 들어오려면 뻔뻔해야 한다. 할 말이 있어야 한다는 거다.
|
|
|
|
사실 책장은 한약방의 약장과 비슷하다. 이 경우 책은 약장의 약이 된다. 체질과 증세에 따라 어떤 약을 얼마만큼 써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으면, 비록 당장은 필요 없다 해도, 언젠가는 그 약효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그런 약 말이다. 이 경우 중요한 것은 우수한 품질의 약재를 고르고 갖추어놓는 감식안이라 하겠다.
물론 책에 대해서 약과 마찬가지로 '꼭 필요하다'는 식의 표현을 쓸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필요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각자의 처지와 취향에 따라서 그 필요한 정도가 천차만별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가에서 먼지의 무게를 견디며 기다림의 세월을 보내고 있는 책이라 할지라도, 그 기다림이 결코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날이 오리라는 믿음을 나는 버릴 수 없다(p.65).
|
|
|
|
|
이런 그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고, 뒷부분의 이야기들(출판계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의 출판계 이야기, 출판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들)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그래도, 마지막 장의, 현대의 디지털 사회에서 '책'이 어떤 가능성으로 '독서'가 어떤 자원을 우리에게 제공하는 가의 문제는 시점의 한계인지는 몰라도 크게 와 닿지 않는다. 결론이 뻔해서였을까?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우리가 '정보화' 되기 위한 자질이라는 것이 '기기 사용능력'이 아니라, 그 컨텐츠를 통해서 통합적으로 사고하고 그것들을 통해서 '창조'하는 능력이라는 것. 하지만 5년전이라는 시점을 감안해서 그냥 쉬이 읽고 넘어간다.
그리고 본인의 모습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출판칼럼리스트로써 '글을 팔면서' 그 컨텐츠들에 대한 '재발견'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21세기에도, 22세기에도 책이 없어지진 않을 것이다. 게다가 종이의 냄새를 기억하는 책벌레들이 살아있는 한, 아날로그 방식의 종이책도 여전할 듯 보인다. 촌스러운 게 고풍스러운 것으로 전환될 수도 있는 것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