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뿌리들 1 - 개념사 1
이정우 지음 / 철학아카데미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에 대해서 제대로 차분히 책상에 앉아서 사유를 해본 적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주로 어떠한 문제에 대한 더욱더 폭넓은 해석을 위해서, 그리고 조금 더 근본적인 문제들을 읽어내기 위해서 철학을 도구적으로 활용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여러가지 개념들을 갖다 붙이면서 논쟁을 했었지만, 사실 그 개념들의 출발점이 어딘지, 그 역사적 맥락은 어떻게 검토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한번도 고려해보지 않았단 해도 과장은 아닐 것이다.

 우리학교 철학과에 한철연(한국철학사상연구회) 소속의 강사들이 많은 관계로 그들이 만들어 낸 대안철학학교인 '철학아카데미'라는 곳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었고, 조광제(철학아카데미 대표) 같은 현상학의 대가에게 '미디어 철학'에 대해서 공부할 기회를 4학년 2학기 때에는 갖기도 했었다.

 이 책은 철학 아카데미의 좌장격이라 할 수 있는 소운 이정우 선생의 철학 기초강좌를 녹취해서 책으로 펴낸 것이다. 2학기의 강좌가 있었기에 책은 두권이다.

 '개념-뿌리들'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지만 그 맥락은 전혀 검토되지 않는 개념들과, 그것들의 철학적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첫번째 권은 본질, 질료, 형상, 무한, 등등의 이론적 전제가 될 수 있는 개념들에 대해 살펴보고,
 두번째 권은 국가, 기예등의 실천적 문제들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정우 선생은 끊임없이 철학사에 대한 이해와, 원전에 대한 꼼꼼한 독해(원어로 된 철학책에 대한 강조!)를 강변한다. 그것이 없이 철학을 이해하려들기 때문에, 빈곤한 번역들이 쏟아지고, 그것들이 작위적인 해석과, 철학적 빈곤함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러한 철학적 빈곤함은 소모적인 논쟁들을 일으킬 따름이다.

 이 책을 읽고나서 어떠한 철학적인 깨달음을 얻은 것은 아니다. 다만 지적인 호기심이 늘어났다는 점, 그리고 좀 더 엄밀하게 칼을 벼릴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겼다는 점에서 이 책은 가치가 있는 책이었다. 아니, 가치가 있는 책이다.

 참 공부할 것은 미어터진다.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