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둘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뭐 스토리를 요약하자면...
어떤 한 남자.. 부모한테 버림 받고.. 마누라도 도망가고.. 그래서 자그마한 벌집 같은데에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청빈하게 사는 한 남자.. 그의 집에.. 어느날 아침.. 비둘기 한마리가 날아서 현관 앞에 앉게 된다...
조나단(주인공 名)은.. 비둘기로 인해 생활의 모든 패턴이 깨진다.. 정신을 못차리고 밖으로 나가지도 못해서 용변도 방에서 세면대에 하고.. 직장에 가서도.. 생활의 평안을 느끼지 못하고.. 정신을 못차린다.. 거지를 보면서.. 그 보다 못한 자신의 삶을 생각해본다.. 여유롭지 못한.. 자신의 삶...
호텔방에 도망가서.. 머물기도 하다가.. 아침에 일어나.. 마치 자신이 죽어야 한다는 충동마저도 느끼는... 외롭다는 것을 새삼스레 느끼는(사실 그는 사람들과 마주치지 않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러다가.. 아침에 일어나.. 왠지 모를 새힘(?)을 느끼는 그는.. 비속을 천진난만하게 뛰어다니다가.. 집에 들어오고.. 새로운 활기를 느끼는... 집에 왔더니.. 비둘기는 이미 치워졌더라.. 하는...
그런 이야기였다...
이 이야기를 보면서... 알베르 까뮈의 이방인에 대해서 냉소를 보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내 생각에... 쥐스킨트는... 까뮈에게 이런말을 하고 싶었을 것 같다..
"후까지 잡지마... 느끼해 x신아..!!"
쥐스킨트의 정신세계라면 충분히 그랬을 것 같은....
실존에 대한 고민... 거기서 후까시 잡고.. "태양빛이 너무나 뜨거웠오.. 그래서 총질했지.."이러면서 각잡는 까뮈류의 소설 패턴에서 비껴서서.. 쉽게 그런 인간을 속물로 치환시켜 버리는... 까뮈의 소설에서는 훌륭한 실존을 고민하는 인간형이었는데 말이지...
그랬던 것 같다....
하지만 결국 쥐스킨트의 소설 조차.. 인간을 지나치게 도식화 시켰다는 데에서 혐의를 벗기는 어렵다...
"여유있고.. 천진난만한.. 배짱이 같은 인간"에 대한 예찬을 은연중 담고 있는 거다... 그러면서 동시에 "쪼잔하고 쫀쫀하고 궁색하게 사는 인간"에 대한 냉소를 담고 있는... 현대 프랑스 인들의 정서를 담고 싶었는 지는 몰라도..(근데 생각해 보니 쥐스킨트는 독일인이군. -_-) 이 도식은 이분법 적이고.. 자신이 강조하는 삶에 대해서 ... 강요하는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가능성이 크지.. 꼭 그런건 사실 아니겠지만..)
나도 디오니소스의 축제만을 즐기고 싶지만.. 사실 그건 강요로 될 일도 아니고.. 그게 더 좋아보여야 그럴 따름인 것을...
소설이 도구화 되면 그것도 사실은 하나의 권력이 될 수 있는 법이다...
그래도 나는 까뮈의 소설 보다.. 쥐스킨트의 가볍고.. 생활에서 찾는 인간에 대한 '생활적' 애착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