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수능 논술과,, 언어영역을 위해서,, 짧은 지문으로 본적이 있었다.. 그 교재에서는 판에 박힌 "절대자"라는 정답을 주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 데...

23살이 되어서,, 읽어본 "고도를 기다리며" "뭐 하지? 고도를 기다려야지. 참 그렇지"라는 말들로 계속 이어지는... 근대인의 삶을 보여주는 듯하려고 했으나 , 나에게는 난해했다. 나는.. 시공간 관념없고, 계속 망각하는 고고인가,, 아니면,, 이지적이나,, 결국엔 고고를 벗어나지 못하는 디디인가?

계속 차분하게 전개되나,, 그 이면에 감춰진 단조로움의 '비극'... 삶을 포기하고 싶으나,, 밤마다 찾아오는 소년.. 내일은 고도가 온다고... 분명 만났었는 데,, 만난적 없다고 하는 소년... 희망을 주는 것 같으면서,, 너무나 덤덤하게 희망을 말하는 소년... 럭키와 포조... 노예의 삶을 살면서,, 계속 장광설을 늘어대는... 순응된 인간형의 럭키.. 장광설을 하지만,, 결국엔 순응하는 삶을 살고 있는 럭키를 보면서.. 왠지 모를 비애감을 느꼈다면,, 나도 럭키에 가까운 걸까?

결국 오지 않을,, 하지만 희망을 포기하지 않게 하는 고도... 우리가 어딘가,, 갖고 있는 막연한 희망이 아닐까? 하지만 결국 좌절해야 함에도 좌절조차 못하게 하는 비극... 결국 중요한 것은 그 비극을 멈추게 하는 '단절'이 아닐까? 희망은 다시 이 곳에서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야 하는게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