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에 비친 유럽 유럽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1
조셉 폰타나 지음, 김원중 옮김 / 새물결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서구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서구인들이 우리를 바라보는 편견(오리엔탈리즘)외 에도 우리가 서구인들에 대한 편견(사실 이러한 편견을 버릴 수는 없다해도, 그 편견이 우리의 어떠한 사회적 환경에서 주어졌는 지는 이야기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은 없는가?

서구 = 합리성, 이성, 진보, ......

우리는 사실 서양이 우리를 보는 것 만큼 이상이나 서양, 특히 유럽에 대한 색안경을 덧씌우고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닌가?

기실 그것이 반드시 우리의 책임만은 아니다, 지금까지 200여년간 동양의 사유에 대해서 제국의 시선을 강요해온 열강의 사유의 책임이기도 하다. 다만 그들 관점을 우리가 내면화 한것 또한 배제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폰타나는, 스페인의 맑스주의 역사학자이다. 경제사를 통해서, 지금까지 유럽에서 '정통'을 입증하기 위해 구축해온 관점들을 한데 모아서 그는 '유럽'을 상상하는 '거울'이라고 보며, 사실 '유럽'의 정통성을 입증하기 위한 사유를 '유령의 집'인냥 보여준다.(후기 中)

그는 야만의 거울, 기독교의 거울, 봉건제의 거울, 악마의 거울, 촌뜨기의 거울, 궁정의 거울, 미개의 거울, 진보의 거울, 대중의 거울 등을 통해서 그들이 상정하는 기준들 9가지의 껍데기를 벗겨내어 실상을 보여준다. 사실상 그들이 상정하는 기준들은 그들이 그들을 옹호하기 위한 거울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그들이 만들어 내는 외부는 그들의 약점을 덮기 위한 기제일 따름이다. 푸코의 계보학적인 접근 처럼, '복수성과, 적자가 아닌 서자'인 유럽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내가 눈여겨 보았던 부분은, 기독교에 대한 사유였는 데, 초기 기독교가 다양성을 담보하고, 꼬뮨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던 것임에 반해 그것이 권력화 되면서 일원화 되고, 다양성에서 마녀사냥으로 대표되는 억압의 기제로 작용했다. 한국의 기독교가 '이단 사냥'과 '반공 열풍'에 휩싸이는 것도(현재 2004년 10월의 시점에서) 한국의 기독교가 예수의 가르침에서 벗어나 하나의 권력화 되었다는 징조를 보여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 외에도 여러가지 '수정주의'라 불리는 그의 시각은 우리의 눈에서 '색안경'을 벗겨주고, 우리의 사유에서 갖고 있는 '도그마들'에 대한 '수정'을 가한다.

이 책의 시리즈들을 읽고 싶은 욕망을 마구마구 불러일으키는 멋진 저작이다. 그리고 번역도 이 정도 수준이면 매우 명쾌하게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