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명당》과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불타는 가야사와 남연군 묘


 


   영화 《명당》은 아들을 왕으로 만들기 위해 고찰 가야사를 불 태우고 그 자리에 아버지 남연군 묘를 이장한 흥선대원군의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유홍준 교수가 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권, '불타는 가야사와 꽃피는 개심사'에도 등장합니다.


   고종 5년(1866년), 두 번씩이나 통상 요구를 했지만 거절 당한 오페르트는 흥선대원군을 자극하기 위해 충남 가야산에 있는 남연군 묘를 파헤칩니다. 이 묘가 어떤 묘인데, 감히 파헤쳤을까요?

   이하응에게는 여러 한량이 모여들었는데 어느날 정만인이라는 지관이 찾아와 말하기를 충청도 덕산땅에 "만대에 걸쳐 영화를 누리는 자리(萬代榮華之地)"가 있고 또 가야산 동쪽 덕산에 "2대에 걸쳐 황제가 나올 자리(二代天子之地)"가 있으니 둘 중 한 곳에 선친의 묘를 쓰라는 것이었다. 흥선군은 만대의 영화보다 2대에 그칠지언정 천자를 낳는다는 자리를 택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1권)』, 143쪽

   안동 김씨의 눈을 피해 한량처럼 지내던 이하응에게 지관 정만인이 이렇게 제안을 합니다. 당연히 이하응의 선택은 그것이 2대에 그치더라도 황제의 아비가 되어보는 것이었습니다.
   영화에서는 이 명당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장동 김씨 일가와 흥선 사이에 피 터지는 싸움이 벌어지지만, 실제로는 정지관이 제발로 찾아가 알려준 것입니다. 지나간 역사에 가정이란 있을 수 없지만, 만약 이하응이 2대천자지지가 아닌 만대영화지지를 선택했더라면 조선의 운명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명당의 조건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거의 모범답안처럼 펼쳐져 조산(祖山)ㆍ주산(主山)ㆍ안산(案山), 좌청룡ㆍ우백호가 이처럼 뚜렷하게 드러나는 곳을 보기 쉽지 않다. 얼핏 보기에 좌청룡 쪽 산세가 너무 험악하다는 인상을 주는데, 그 때문에 계곡 아래쪽에는 석조보살상을 세워 그 기세를 누그러뜨렸다고 한다. 오직 흠이 있다면 주산에서 명당으로 흐르는 지맥이 생각보다 짧다. 그래서 정만인은 만대(萬代)가 아닌 2대(二代)의 천자가 나온다고 예언했나보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1권)』, 147쪽

   이하응은 가야사를 불 태우고, 가야사 금탑이 있던 자리를 남연군 묘자리로 잡습니다. 후에 진짜로 아들이 왕에 즉위하자 고마운 마음 탓인지, 미안한 마음 탓인지 남연군 묘 맞은편 산 기슭에 절을 짓고 '보덕사'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절 또한 한국전쟁 때 불타버려 지금은 새롭게 지은 절만 남아 있습니다.

   영화를 보다보면, 안동 김씨가 아닌 장동 김씨가 계속 언급되는데 당시 안동 김씨들이 장동(지금의 청운동)에 살아서 그렇게 불렀다고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영화감독 보다는 유홍준 교수님이 좀 더 친절합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한번에 쭉 읽는 책이 아니라 이렇게 생각날 때마다 꺼내어 펼쳐보는게 좀 더 흥미롭고 유익한 것 같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8-09-27 23: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느 팟캐에서 들어 보니 <명당>이 <관상>
을 따라 하려다가 망작이 되었다고 하더군요.

남연군묘는 정말 천하 명당이라는 생각합니다.
풍수에 모르는 사람이라도 그곳에 오르면 알
수가 있답니다.

개심사는 소박하니 아주 마음에 들었습니다.

예전에 유홍준 교수님이 진행하시는 당일치
기 부여답사에 따라 나선 적이 있었는데 정말
좋았던 기억입니다.


뒷북소녀 2018-09-28 09:27   좋아요 0 | URL
이 덧글 보고 찾아보니 <명당>이랑 <관상> 비교에서 쓴 글이 있더라구요.
보니까, 정말 <관상>과 똑같은 법칙으로 만들었던데,
이번 추석 대작 세 편 모두 봤지만, 저는 <명당>이 가장 별로였어요.
왜 박스오피스 예매순위가 2위인지 아직도 이해할 수 없는.
예전에 다녀온 곳들이 많은데, 책을 읽고 갔더라면 더 좋았을 걸
하는 아쉬움이 남아서, 기회되는대로 다시 다녀올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