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넷페미史 - 우리에게도 빛과 그늘의 역사가 있다
권김현영 외 지음 / 나무연필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가 선물로 준 책이다. 세 명이 한 강의를 엮은 책은, 결이 조금씩 다르고, 내가 지나온 90년대를 말하는 첫번째 강의가 맘에 들지 않았다. 엄밀히 말하자면, 책 제목도 맘에 들지 않는다. 넷페미!라니!!!

페미니스트인 나는, 내 자신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부끄러워서, 온라인에 내가 쓰는 글을 오프라인의 사람들에게 알려주지 못하지만 나는 온라인으로 오프라인으로도 나다. 내 이름을 쓰는 건 아니지만, 언제나 같은 아이디로 부끄러운 글들을 뒤에 남기고 그렇게 지금까지 살아왔다. 내 자신의 정신과 육체도 나누지 못하고, 또 내 자신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누지도 못하고, 타인에게 모진 말을 하면서 내 자신에 관대하지도 못한다. 

첫번째 강의자였던 분은 스스로를 넷 페미,라고 90년대 호주제, 군가산점이 이슈가 되었을 때, 자신을 가장하여 논쟁하는 이야기를 한다. 인터넷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가장하고 중학생을 가르치는 남자 교사인 체, 아이가 있는 엄마인 체, 타인을 설득하는 실험들을 했다고 말한다. 고지식한 나는, 그건 가능하지 않다고, 다들 자기 정체성 안에서 가장 정직하게 말해야 겨우 소통이란 걸 할 수 있는데, 소통을 하지 않고 하는 설득이란 얼마나 건조한가, 라고 생각하는 거다. 자신이 옳고 타인은 그르다는 확신 속에서, 스스로에게 정직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면서 타인이 가장 받아들일 수 있는 존재를 가상하여 쓰는 글은, 정말 설득을 할 수 있을까. 

젊은 페미니스트들이 가득 찬 자리에서, 어쩌면 웃으면서 즐겁게 이루어졌을 그 이야기들이 페미니즘을 오해하게 한다는 생각을 한다. 자연과 문명의 이분법이 얼마나 여성을 대상화하고 착취했는지,를 말하는 페미니스트가 인터넷 상에서 자신의 절대적 옳음을 확신하고 타인의 말을 흉내낸다. 깨어지는 것은 상대의 유리같은 마음만이 아니다. 자신도 말하면서 아닌 체 하지 못해서, 결국 자신의 마음도 변해 버린다. 무슨 이유로라도 자기 자신에게 정직하지 못하면, 마음이 병들어 버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