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연된 정의 - 백수 기자와 파산 변호사의 재심 프로젝트 ㅣ 셜록 1
박상규.박준영 지음 / 후마니타스 / 201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조직은, 개인보다 힘이 세다. 하나보다 둘이 강한 것처럼, 늘어난 사람 수 만큼 힘이 세지고, 다시, 책임 질 일을 나눠 진 만큼 무책임해진다. 그래서, 조직에 속한 사람은 조직 밖이 두렵고, 입이 없다. 조직에 속하면서, 나눠 맡은 일은, 내 조직의 일이라도, 그렇게 고민할 필요가 없고, 자신의 위치나 역할에서는 건조한 극단까지-전체를 보는 존재라면 고민해야 하는 것을, 부분을 보고 고민하지 않는- 치달을 수 있다. 사회 안 에서라면, 교사나 경찰 같은 직업군의 직업병,이 있을 테지만, 다시 그 직업군 안에서는 다시 자기 분야의 특화된 직업병이 존재한다. 조직에 속한 채로 조직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도 조직의 수장 쯤 될 거고, 조직의 수장이라면 벌어지는 일들과는 멀고, 또 조직의 사람들을 책임지는 자리니만큼 한계가 있다. 조직에 대한 어떤 말도, 조직에 속한 사람은 말하기 힘들고, 결국 입은 사라진다. 그래서, 조직에 대한 말들은 대개 조직을 벗어난 자유인들에게서 나오고, 그 말들 속에 조직은 위험하고 한심하고, 때로는 왜 존재하는지 이유조차 알 수 없다.
책은, 오마이에 기사를 송고하는 언니가 사줘서 읽었다. 사인까지 받아 준 책은, 다음 스토리펀딩으로도 몇 번 구경한 이야기였다. 국가폭력에 살인자로 누명을 쓴 사람들,이 등장한다. 법적 지원없이, 사회의 가장 약한 사람들이 누명을 썼다. 진범이 등장해도, 경찰과 검찰은 그저 실수를 인정할 수 없어서, 인정하기 싫어서, 억울한 사람들을 방치한다. 책 속에 등장한 억울한 다섯사람 중 넷은 수감 중에 진범이 잡혔지만, 형을 모두 살고도 십수년이 지난 후에야 재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나는 조직에 속해 있는 사람이라서, 그 경찰이나 검찰이 왜 그렇게까지 했을까, 계속 생각한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왜 그렇게까지 했을까. 왜 때리고, 협박해서 자백을 받았을까, 왜 진범이 나타났을 때 되돌리지 못했을까. 그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국가권력의 엄정함,은 얼마나 절대적인 것이길래 그랬을까. 아마도, 책임을 나눠졌으니, 상사가 사건을 이관하라면 넘겼겠지, 싶고, 아마도 평가를 받을 테니 범인을 빨리 잡아 사건을 종결하고도 싶었겠지, 싶다. 중요도의 선과 후가 바뀌고 본말이 전도되어도, 조직 내에서 사건을 빨리 해결한 사람, 잡음이 없는 사람이 아마도 승격했겠지 싶은 거다. 조직은, 조직 안에 사람들이 존재이유를 더이상 성찰하지 않는다면, 그렇게 쉽게 타락한다. 그래서 조직 안에 사람들은 조직 안에 책임을 나눠져서 무책임해진 사람의 태도 말고, 결국 조직을 벗어날 사람으로 자신의 일을 보고 대해야 하는 거다. 그런 마음과 그런 태도를 지켜야 한다. 아무리 용맹한 개인이 깨뜨린다고 말해도, 알고 있다. 조직은 개인보다 세고, 조직에 속한 그 각각의 개인들은 조직 속의 개인이 아닌 사회 속의 개인에 대해서 균형감각을 가져야만 하는 거다. 그게 쉽지 않다는 건, 알고 있다. 내부적인 노력과, 개개인의 성찰, 조직 바깥에서의 노력, 모두 다 필요하다. 모두, 힘 내서, 조직이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만 하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