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쟁이가 들려주는 백설 공주 이야기 ㅣ 피리 부는 카멜레온 197
제럴드 게럴스 그림, 낸시 로웬 글, 최용은 옮김 / 키즈엠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받아 온 책이다. 이야기 속의 다른 등장인물의 관점으로 들려주는 이야기들 중에-늑대가 들려주는 빨간모자 이야기와 야수가 들려주는 미녀와 야수 이야기를 가지고 온 적이 있다- 하나고, 그런 과정에서 주인공에 대한 미화가 사라진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백설공주 이야기를 다섯째 난장이 입장에서 듣고 있자니, 친구 뒷담화하는 걸 듣는 것처럼 불편했다. 세 번이나 마녀에게 속아넘어간 백설공주의 어떤 성정을 묘사하기 위해서였겠지만, 건망증이 심하다,라고 묘사하는 것은 거부감이 들었다. 백설공주는 착했던 거야, 불쌍한 할머니가 애써 방문한 그 오두막에서 그 할머니를 그냥 보내기 힘들었던 거라고, 그건 나쁜 태도가 아니라고, 항변하고 있었다. 난장이가 백설공주의 그런 성정에도 불구하고 사랑하였다고 말하지만, 왕자까지 건망증 대마왕으로 묘사되고 보니, 원래 백설공주 이야기의 교훈은 뭐였나, 이런 생각을 했다. 교훈,따위는 없는 거였어도, 원래 이야기에는 무언가 여즉 살아남을만한 무언가가 있었던 거야,라는 생각 말이다.
그러다가, 아마도 내가 나이드는 중이라서, 이 이야기가 여즉 살아남은 것은 자명한 진리를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아름다움이라도, 절세의 아름다움이라도, 시간이 흐르면 다음 세대에 자리를 내어주게 마련이라는 것. 그걸 거부하는 것은 어리석고, 결국 악해진다는 것, 말이다. 아름다움이 아니라, 권력이라도, 그건 마찬가지다. 다들 아는 그 자명한 것이, 이야기 속에 있기 때문에 아직도 여전히 읽히고 이야기하는 게 아닌가, 싶었다. 권력이나 돈을 가진 사람들이 이런 자명한 것들을 거스르려고 행하는 무수한 노력들이 마녀가 거울을 보며 찬탄하는 태도처럼 보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