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민주주의거든
다카하시 겐이치로 지음, 조홍민 옮김 / 글항아리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너무 읽고 싶었는데, 이사를 해야 해서, 책짐이 무서워서 이제야 읽었다. 

너무 읽고 싶은 이유가, 책 제목 때문이었는지, 저자가 '사요나라 갱들이여'의 그 작가여서였는지는 모르겠다. 

책은, 2011년 3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매달 하나씩 쓴 논평을 모아 놓았다. 2011년 3월에 벌어진 후쿠시마 원전의 폭발사고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독도문제도, 혐한시위나 반일감정에 대한 이야기도, 교육의 문제도, 비정규직의 문제도, 거의 세습되다시피하는 정치의 문제도 이야기한다. 

일본의 이야기들이라서 생소한 사건들을 토막의 쪽글로 읽는 것이 처음에는 어색하고, 글들이 인용하는 사람도, 잡지도 알지 못할 때는 좀 바보같다고 느껴졌지만 다른 풍경은 아니었다. 

오래 생각하고 조심스럽게 말하는 진지한 선생님이 그려지는 글들이었다. 


'연민의 바다'를 향해,를 읽다가 소통에 결국 실패한 순간, 내가 느꼈던 막막함을 얼마만큼은 설명해주는 대목이라 연필을 찾아 밑줄을 쳤다. 


'난폭한 주장'따위가 아니야,는 내가 느끼는 두려움, 교실에서 등수를 모두 불렀다는 아이의 담임 선생님께 '그건 교육적이지 않습니다'라고 민원을 넣었다가, 시험 잘 본 딸이 자기 등수를 알려달라고 엄마가 그런 말을 해가지고 선생님이 안 알려준다며 항의하는 지경에 처한 내가 느끼는 그런 고독감,에 대한 말 같아서 작가의 말도 아닌 작가의 인용에 줄을 쳤다. 아이들과 선생님이 교육과정까지 함께 짠다는 실험적 공교육을 운영하던 사람이 한 말이었다. 


'피해자의 아량, 가해자의 신중함'에서 이 대목은 우리나라에서도 결국 절판이나 수정출판된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에 대한 이야기이고, 이 부분도 작가가 들어 인용한 부분이다. 

인간은 논리로 세계 전체를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똑똑하지 않다. 논리야말로 공동체를 닫아버릴 때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외부를 이해하는 별개의 원리를 필요로 한다. 그 탐구 끝에 우리가 도달한 결론은, ‘깊은 생각과 충분한 논의‘가 닫아버리는 소우주의 외부에 ‘연민의 바다‘가 펼쳐지고, 네트워크와 동물성을 통해 임의의 공감이 여기저기서 발화하고 있는 그러한 모델이다. (p44 ‘연민의 바다‘를 향해)

저항이 있는 쪽은 사실 현장의 지자체나 교사나 학부모들이에요(p83 ‘난폭한 주장‘따위가 아니야)

과거는 항상 현재의 심판을 마주하지 않으면 안 된다(p89, 피해자의 아량, 가해자의 신중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