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연휴, 내려간 시댁은 정규방송 화질만 깨끗했기 때문에 내내 틀어놓는 만화채널을 오랜만에 벗어나 연휴에 방송하는 파일럿 예능을 볼 수 있었다. 

아이돌 요리왕 본선에서 처음 탈락한 산들과 유아,의 요리를 시식하고 품평하는 시간이었다. 심사위원 자리에 앉은 식당의 전문 셰프 세 명이 시식을 하고 이야기한다. 마스터 셰프 코리아,에서 독설로 이름을 날린 요리사께서, '이걸 우리 먹으라고 준 거냐, 개도 못 줄 쓰레기'-아, 정확하지 않다-라고 품평했다. 차례차례 악평들 끝에, 연예인 판정단 중에 한 명이-성대현,이었다- 쭈뼛쭈뼛 '아, 저는 제일 제 입맛이예요. 다 먹고 양념에 밥도 비벼 먹을 수 있겠어요'라고 말했다. 나는, 그러니까, 이 독자적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맛있다고 겨우 말하는 게 그 말이 거기 들어가는 게 낯설었다. 그런 장면은 다음에도 한 번 쯤 더 나온다. 페이가 만든 등갈비튀김을 그 요리사는 책상에 치면서 '돌덩이'라고 품평했고, 이국주는 '아, 완전 좋아요'라고 했던가. 

권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어떤 독설이든 고개를 떨구고 듣고 복종해야 하는 식으로 묘사하는 방송을 보아왔던가, 독설 뒤에 오려붙인 그 장면이 어색했다. 그런 독설 뒤에 그런 상찬이 붙으면서 권위는 살짝 일그러졌다. 


권위는 물론 있어야 하지만, 권위에 항상 복종해야 하는 건 아니다. 그게, 먹는 거, 입는 거, 사는 거,라면 개인의 기준으로 자기 안을 탐색해야 하는 거다. 티비는 결국, 기준을 통일하는 꽤나 폭력적인 매체고, 최근에는 요리나 책이나 그게 무엇이든 굉장히 취향을 타는 것들에까지 취향을 전시하고 안내하는 노릇을 하고 있다. 그게, 티비라고 티비에서 프로를 만드는 사람이라고 원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한 사람의 취향이 만인의 취향으로 확산되기 쉬운 영향력 큰 매체,라는 걸 안다면, 저런 장면은 생소하다. 생소하다고 해도, 결국 여섯 중에 다섯이 맛있는 걸로 요리'왕'이 뽑히겠지만, 산들이나 유아가 성대현같은 사람의 요리사라면 뭐 그 사람에게는 요리'왕'이 될 게 아닌가, 싶었다. 삶에서 '왕'을 뽑아야 하는 순간은 얼마나 올까, 언제나 순위를 매기는 프로들을 보면서, 심사위원에 이입하여 구경하는 시청자인 나는, 그런 짓의 쓸모없음이 드러난 장면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