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가 들려주는 빨간 모자 이야기 내 얘기 좀 들어 봐 2
트리샤 스피드 샤스칸 글, 제럴드 게럴스 그림, 강형복 옮김 / 키즈엠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어린이집에서 주에 한 권 책을 들려보낸다. 가끔, 이런 어이없는 책을 가져오면 내가 이상한가, 싶어 남편에게 읽어보라고 준다. 다 읽은 남편이 한 말이다.

'쓴 사람이 여자네?'

'그래? 몰랐네.'

늑대에 잡아먹히는 할머니나 빨간 모자를 거울만 들여다보는 멍청이로 묘사한 그림책의 저자가 여자인 줄 몰랐다.

 

나는, 늑대가 빨간모자를 잡아먹는 게 나빠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빨간모자가 늑대에 잡아먹혔다고 해서, 또 이유가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늑대와 빨간모자 이야기를 늑대이야기로 하면, 도대체 할 말이 하나도 없는 거다.

그러니, 책이 살짝은 궁금했던 거다. 그런데, 정말이지 할 얘기가 하나도 없이 이루어진 그림책은, 이 책을 만들기 위해 쓰러진 나무들과 이 책을 실어나를 사람들, 그걸 읽은 아이들까지 할 말 없게 만든다.

 

이야기는, 원래 채식주의자였던 늑대가 일주일도 넘게 굶어서 빨간 사과같은 빨간모자와 파란 사과같은 할머니를 잡아먹었단다. 그런 정도였어도, 도대체, 이 말들이 책이 되려면 도대체 무엇을 쓸 수 있을까, 하는 부분이 어이없는 묘사로 가득찬다. 빨간 모자를 쓴 빨간 모자는 빨간 사과처럼 동그래서는 자신을 끊임없이 거울에 비춰보는 그런 존재로 묘사된다. 할머니도 마찬가지고. 이런 책을 도대체 왜 만든 걸까.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걸까. 늑대가 채식주의자였을 필요도 없고, 늑대가 빨간모자나 할머니를 잡아먹는다고 해서, 그 둘이 멍청이처럼 거울만 쳐다보는 한심한 존재일 필요도 없는데, 뒤집어보자면서 왜 그런 식으로 묘사해야 했던 걸까, 싶은 거다. '야수가 들려주는 미녀와 야수'이야기도 시험에 들게 하는 사랑,이라는 면-그러니까, 야수는 죽지 않으면서, 미녀의 사랑을 확인하려고 죽은 체한다-에서 좋지 않았는데, 이 이야기는 도대체 어이가 없다. 하고 싶은 말은, 늑대에게 먹힌 사람들이 멍청했다,였던 걸까. 그런 이야기를 왜 하고 싶은 걸까. 자신이 하는 말이 그다지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 큰 소리로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런데, 이런 책이 번역되어 아이 손에 들려온 걸 보면 나같은 사람보다 '늑대에 잡아먹히는 멍청한 존재들'을 묘사하는 게 그래 재밌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걸까, 무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