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은 어떻게 죄가 되는가
매트 타이비 지음, 이순희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예나 지금이나, 여기나 거기나,라며 읽게 되는 사례들이, 급박한 묘사들로 이어진다.

여러가지 증거들, 사례들, 현장들을 묘사한다. 월가의 억만장자들이 법망을 빠져나가는 것, 가난한 사람들이 법의 촘촘한 그물망에서 옴싹달싹 못 하는 것,을 묘사한다. 


나는, 읽는 내내, 누군가에게는 장점일 책의 서술방식이 거슬렸다. 소설처럼 묘사되는 정황, 빠르게 급류를 타고 넘는 듯한 묘사, 법정에 선 가난한 사람들의 절망감, 억만장자들의 기업사냥을 마치 스릴러물처럼 쓰는 것이 교묘하다고. 이미 강경한 자신의 '주장'이 있고, 나머지 묘사는 도구라는 느낌이 드는 것이다. 사실만을 열거하는 것이 딱딱할 수도 있고, 주관은 없이 모두 다 사실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만큼 충실한 취재지만, 이미 소설적 묘사는 이성보다 감성에 호소하고 있다고 느낀다. 계속되는 '민주당 정부 들어서'라는 표현도 우리나라 실패한 정부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키면서 역시 또 거슬렸다. 민주당 정부 들어서 오히려 완화된 경제범죄, 심각해진 이민자 추방,에 대한 묘사가 이 책의 주장 대신 다른 의문을 머릿속에서 솟구치게 하는 지경이 되었다. 여기나 거기나 왜 그런 걸까. 왜 한번도 그 진심을 의심한 적 없었던 '노무현'대통령은 결국 실패했던 걸까. 도대체 왜. 


책 속에, 재판받는 경영진에 대한 묘사가 있다. 재판정에 선 사장은 지금껏 한 번의 범법행위도 하지 않은, 성실한 가장이며, 지역의 유력자로써 지금까지 행한 여러 활동에 대하여 묘사한 변호, 여러 회사 밖 인맥들의 탄원서를 첨부하고, 방청석에는 온갖 지인들-보통은 함께 어울릴 사장님이나 서장님이나 교수나 변호사같은 사람들-이 자리를 메우고, 아내와 자녀는 방청석에 앉아 눈물을 흘린다. 그 묘사를 보고 있자니, '판사도 사람인데' 싶은 거다. 뒤이어, 자기 집 앞에서 서 있었다는 이유로 체포된 유색인종의 재판이 묘사될 때는 '사람이 하는 일'들이 사람답기 위해 얼마나 큰 노력이 필요한지 생각하는 거다. 그리고, 사람을 만나고 안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노무현,대통령은 권력을 잡았고, 그 권력을 휘두를 수 있었지만 그러지 않았다. 나는 그게 존경받아 마땅한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독재에 이미 길들어, 권력을 잡았으니, 권력을 휘두르라고 하는 말은 무의미하다고도, 왜 '참여정부'라고 부르고 싶었는지도 조금은 알겠다. 

그렇지만, 그 기간 동안 내내, 그러니까 IMF이후 계속 비정규직은 늘어났고, 고용은 불안정해졌고, 사람들은 두려움에 떨면서 자신의 모든 시간을 팔아 돈을 벌면서 살게 되었다. 망해가는 기업에 세금을 쏟아 부었어도, 그 기업의 주상복합을 산 사람이 결국 지어지지 않은 그 집을 그 돈을 그저 날리는 걸 사람들은 보았다. 합리성을 주장하는 말들이 넘치면서, 초보적인 수준의 합리성이 큰 의미를 잠식했다. 공동체는 깨어지고, 불평등은 심화되었다. 

오바마,는 정치를 하면서 후원금을 청하는 전화가 가장 힘들다고 했단다. 정치에는 돈이 들고, 권력이 없던 자가 권력을 잡았을 때, 권력을 통해 이권을 누리려는 사람들이 쓰게 되는 이권의 값은 오히려 하락하는 게 아닐까, 생각했다. 그래서, 결국 가치,자체가 거래되었던 건 아닐까. 

그래서, 온갖 훌륭한 말들과 태도와 결국 둘 중에서 하는 선택이라면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정당이, 집권한 다음 실패하는 것이 아닐까. 기득권세력처럼 뻔뻔하지 못한 것 때문에, 오히려 실패하는 건 아닐까, 라는 비약이 심한 생각들로 머리를 어지럽히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