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백 - 제16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었다. '한국이 싫어서'가 끔찍했는데도, 작가의 커리어의 시작인데다가 '한겨레 문학상'수상작으로 책장에 이미 꽂혀있어서 읽어보았다. 무언가 다를까,하고. 역시 기분 나쁘게 마쳤다. 그러고는 한참을 그 기분나쁜 감정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오마이뉴스 오연호기자가 쓴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다가 알게 되었다. 왜, 무엇이 그렇게 기분나빴는지. 


사는 건, 그냥 태어났으니 사는 거고, 나는 특별하지 않다. 

살기 위해서 특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타인과 동등한 만큼의 특별함, 생명이 가지는 무게만큼의 특별함이 있다면 있는 거고. 

특별함이라는 게 두드러지는 영웅적 업적, 만고에 길이 남을 이름,?따위라면 없는 거다. 


나는, 아예 책속의 화자와 아예 똑같은 세대인데도, 책속의 말들이 내내 의아했다. 


체제는 고착되었고, 변화의 여지는 없다? 정말? 

이미 전 세대가 일궈놓았고, 우리 세대가 할 일은 없다? 정말?

삶의 정점에서 삶의 무의미성을 죽음으로 웅변하겠다? 엥?

그 삶의 정점이라는 게 면허시험 합격? MBA수석졸업? 취업?이야?

이걸 삶의 정점,이라고 생각하는, 자신의 죽음이, 무언가 연결된 또 다른 죽음이, 연쇄적인 죽음이 무슨 말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무슨 말? 

원래 태어났으니 사는 거고, 나는 특별하지 않은데?


나는, 자기가 특별하지 않아 아예 못 살 지경인 사람을 살면서 만났었을까? 

 

읽는 동안 내내 거슬렸던 건 남자들의 환상을 응축해놓은 것 같은 여성 캐릭터였고, 책을 덮으면서는 이 기분나쁜 감정을 설명하고 싶었다. 

아예 다른 세대라면 '한국이 싫어서'를 읽을 때처럼 구경이라도 하겠는데, 나의 세대라고 생각하니 억울한 마음이 되었다. 이 한심한 세대가 나?의 또래집단이라고? 

작가가 겪은 결과 내가 겪은 결이 얼마나 다른지 우선 놀라고, 이야기가 전부 욕처럼 읽힌다. 도대체, 무얼 읽으라고 이 이야기에 한겨레는 '문학상'씩이나 준 거냐고 묻고도 싶었다. 


나의 이십대는 저렇지 않았고, 나의 사십대도 저렇지 않다.  


굳이 교훈이라면, 아이에게 개인의 '특별함'을 강조하는 건, 정말이지 해서는 안되는 일이라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