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작은 것을 기다리는 시간 - 한 시골교사의 희망을 읽어내는 불편한 진실
황주환 지음 / 생각의나무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내가 나의 직업을 회의하고 있을 때, 영화일을 하던 친구가 '티티테인먼트'라는 말을 아느냐고 물었다. 처음 듣는 말이었다. '티티테인먼트'는 정치적 불만이 가득 찬 대중에게 젖을 물려 달래는 오락을 부르는 말이다. 

친구의 그 말에 나는 모든 직업에 그러한 모순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걸 받아들였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벌어 먹고 살고 있는 모든 상황에서 그런 식의 괴로움은 생길 수 밖에 없다는 걸 받아들였다. 농부라고 해서, 작가라고 해서, 기자라고 해서, 교사라고 해서, 활동가라고 해서, 가수라고 해서, 세상 어떤 직업을 택한다고 해도 그런 질문을 피할 수 없다. 그런 질문을 피해서는 안 된다,고도 생각한다. 그런 질문을 하고, 그런 질문들 안에서 자신의 일을 고민하면서 해야 한다,고도 생각한다. 


이 책은, 현직교사가 교육현장에서 그렇게 고민하면서 깨닫는 이야기이다. 노예로 살며 노예를 키우는 학교교육에 대해 고민하는, 그러니까 자기 직업 안에서 고민하며 무엇인가 바로잡으려고 애쓰는 이야기이다. 

사실, 나는 실제로 읽지는 않고 주워들은 이야기가 워낙 많아서, 이 선생님이 벼락에라도 맞은 듯 깨달았다는 이야기가 와닿지는 않았다. 공교육은 공동체의 시민을 키우는 교육이고, 사교육은 '너 혼자 잘 나서 잘 살도록'하는 교육이라고 한 말을 들은 적 있다. 학원 다닌 아이보다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다고 공교육이 황폐해지는 게 아니라, 다들 자기 아이가 좋은 성적으로 좋은 학교 갔으면 해서, 공교육이 황폐해진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으니, 이 선생님이 뒤늦게 깨달아 아직 깨닫지 못한 사람을 각성시키려고 쓴 글들은 그렇게 잘 읽히지 않았다. 차라리, 자신이 가르치는 걸 현실이 되게 하려고 애쓰다가 부딪치는 교육현장의 좌절감에 공감했다. 반대하는 교사에게 다른 교사의 '침묵은 제 의견에 대한 동조로 봅니다'라고 말하는 교장 앞에서 동조해주지 않는 다른 교사들에게 갖는 원망이나, 아이들을 공부기계처럼 대하는 부모에 대해 느끼는 좌절감 같은 걸 알겠더라. 

그런 답답한 마음, 애써 말하는데도 아무도 동조하지 않아 외로운 마음을 알고 있다. 자신의 말과 현실을 연결시키지 않는 태도를 만나면, 입을 옷을 고르듯 정치적 입장을 고르고 현실의 삶에서 깜짝 놀랄 만큼 권위적이거나 체제 순응적인 판단을 하는 사람들을 만나면, 너무 무섭다. 

책을 쓰고 싶을 만큼 답답한 마음을 알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