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도록 즐기기 - 성찰없는 미디어세대를 위한 기념비적 역작
닐 포스트먼 지음, 홍윤선 옮김 / 굿인포메이션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만화를 보았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와 오웰의 1984를 병치시켜서는 현재가 헉슬리가 상상하던 미래가 된 거 같다고, '우리가 좋아하는 것들 덕분에 우리가 이상한 정치를 감내하게 되었다'고 말하는 만화였다. 만화의 번역본에도 닐 포스트먼의 이 책에 대한 언급이 있었는데, 원본 링크는 저자와의 저작권 문제로 아예 내려가 있었다. 나는, 이 만화가 책을 읽게 할 거라고 생각했던가, 이 책은 내용이 만화의 딱 그것 뿐인가, 싶어 책이 궁금해졌다. 그래, 만화를 봐서가 아니라, 원본만화에서 '저작권자의 요구로' 링크가 내려가 있어서.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은, 지배계급의 통치에 순응하는 사람들,은 마약으로 통제당한다. 무언가 맥락이 남지 않은 오래된 기억 속에-그래, 내가 분명히 언제 읽었었다- 남아있는 책 속의 장면은 성난 군중에게 뿌려대는 환각제,였다. 마음 속에, 그런 방식으로 행복하고 싶지는 않다면서 읽었나보다. 

책은,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속 '환각제'-소마-의 역할을 '텔레비전'이 하고 있다고,아마도 헉슬리가 지금의 세상을 본다면 동의할 거라고 말한다.  

책은 형식,이 내용,을 제한한다고, 혹은 적합한 형식,이라는 게 있어서, 텔레비전,이라는 형식-기술-은 오락,에는 특화되지만, 다른 진지한 주제들을 '오락화'시킨다고 말한다. 그래서, 오히려 티비로 무해한 것은 오락이나 드라마고, 유해한 것은 정치토론이나 뉴스나, 교육적인 어떤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기술,이라며, 그 자체로는 아무 지향이 없는 것처럼 말하지만, 실제로 그 '기술'은 지향을 가진다고도 말한다. 나는, 읽으면서 공감했다. 

사람의 생각이 대면 대화,를 통해서만 전달되는 사회와 글,이 보편화된 사회는 다른 구조를 갖게 된다며 중세 유럽와 초창기 미국을 비교한다. 그리고 티비가 보편화된 사회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사람의 눈을 보고 말하게 될 때, 공명같은 게 일어난다. 서로 다른 말을 하고 있어도, 그 말이 싸움이 되어서 결국에는 화를 내며 끝났더라도, 말로 주고받은 것 말고 다른 것들, 서로가 서로를 위해 쓴 시간, 말 밖에 존재하는 많은 것들 때문에 그 사람과는 다른 관계가 될 수도 있다. 

글로 말해야 할 때, 시작과 끝, 전과 후, 논리에 대해 생각한다. 말처럼 사라지는 게 아니라서, 글이 된 다음의 삶이나 그러니까 '일관성'이란 게 중요해진다. 

그런데, 티비처럼 '말'이지만 '말 외의 말'이 사라진 방식으로 전해지는 것은 그 방식 때문에 '오락화'가 일어난다. 그건, 내용의 문제가 아니라, 형식,의 문제라고. 애초에 그럴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자신의 개입이 필요없는 '뉴스들'을 듣는 건 사회에 대한 '무력감'을 강화시키고, 병렬로 이어지는 서로 다른 뉴스는 이전 뉴스,를 잊게 만든다.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오고, 지배계급의 통치방식에 순응적인 '긍정'이 넘친다. 

이미, 정치인의 일관성은 문제가 되지 않고, 재벌가의 행태는 포장된다. 

아, 화가 막 나는데, 이미 너무 많이 매체에 잠식당했는지, 하려는 말들이 전해지지 않는다.

말을 할 수도 없고 말들은 허공에 맴도는 거 같다. 


말,을 하고 싶다. 이렇게 글,을 쓰는 거 말고, 전화로 말하는 것도 말고, 얼굴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내가 가장 심각하게 고민하는 걸로, 진지하고도 길게.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도 시간도 흔치 않다는 걸 아는데도, 나이들어 꼰대가 되려나 보다. 


쉽게 전달된 것은 쉽게 사라지고, 형식이 내용을 제한하기 때문에, 책이 말하는 것이 그거라서,

아마도, 만화를 내려달라고 했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