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봉우리 세트 - 전5권
다니구치 지로 지음, 유메마쿠라 바쿠 원작 / 애니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읽어가다가 무언가 전형적이라고 느꼈다.

책 속의 사람들은 굉장히 진지하지만, 나는 시큰둥.

시마과장에게 '그렇게 까지 회사를 다녀야겠어?'라고 속 말하게 되는 기분. '뼛속부터 그래야만 하는 인간'이라고 열심히 설명하지만, 그래, 그러라지, 나는 그러고 싶지 않아,라고 구경하는 기분.

 

이야기는 에베레스트 원정대 사진기자인 화자가 등정 중 죽어간 동료의 마지막을  목격하고 방황하다가 시내 골동품가게에서 에베레스트 초등정 원정대가 가지고 갔던 동일모델의 카메라를 발견하면서 시작된다. 초등정 미스터리보다는 카메라의 발견자라는 일본인 산사나이를 추적하는 이야기 비중이 큰데, 산을 오르는 이유 등반가의 경쟁에 이입이 되질 않았다. 나는 산을 오르는 열정은 공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저 산만 타는 게 좋아,라고 했어도 이해할 수는 있다. 그렇지만, 다른 누구보다 먼저 산을 오르겠다고 결심하는 사람은 삐딱하게 보게 되는 거다. 비장한 표정으로 '최초가 아니면 의미가 없어'라고 말하는 데는 뭐래,라고 하는 거다. 내가 이상한 건지. 책 속의 사람들이 이상한 건지. 그런 남자에게 열광하거나, 달떠서 뒤따르는 사람이 의아한 거다.

그토록 강렬한 열정을 나같이 뚱한 사람에게 설명하기는 어려울 거다. 사람마다 사는 이유는 다르고, 한 사람에게도 삶의 순간마다 사는 이유는 달라지고, 또 그 이유라는 게 당사자에게만 소중하기도 하고, 가끔 전혀 무관해보이는 선택지 안에서 사는 방향이 달라지기도 하니까. 모호하고도 강렬한 열정을 굳이 동의하지 않았다면, 이야기의 열기는 과정에서 나와야 하는 거고, 전체 이야기 속에서 그 과정은 나름 치열하기는 하다. 그러나, 초인처럼 묘사된 남자는 내게 그렇게 매력적이지 않았다.

 

원작이 있는 소설을 만화로 그린 거고, 산을 오르는 남자, 그가 묵묵히 걸어가는 산의 모습을 묘사한 그림은 그대로 고독감이나 압도적인 느낌을 전달한다. 산을 오르는 게 유일한 삶의 이유인 남자가 있고, 역시 그를 쫓으며 산을 오르는 남자가 등장하는 이 이야기를 나는 이야기 바깥에 여자가 존재하는 일본의 남자가 남자들을 위해 만든 남자들의 이야기로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