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빈곤, 누구의 책임인가? - 세계의 빈곤 World Poverty 아주 특별한 상식 NN 2
제레미 시브룩 지음, 황성원 옮김 / 이후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정글에서 불을 피우고, 식량을 구하고 잠자리를 만드느라 고생고생한 일군의 문명인이 다음 단계로 그 정글에서 살아가는 원시부족을 만난다. 그들을 만나, 그들의 음식을 함께 먹고, 그들이 내어준 잠자리에서 잠을 자면서, 그 이전의 고생들에서 느낄 수 없던 어떤 안도감을 느낀다. 이건, 지금 약간 수그러들었지만 논란이 되고 있는 예능프로그램의 기본얼개다. 고생고생하는 순간에도 이 일군의 문명인은 나름 헤쳐나가고 있다. 살아내고 있으니까. 그렇지만, 그 다음 순간 만나는 원시부족의 삶은 다른 차원이 된다. 문명인에게 그곳은 잠깐의 '체험'이지만, 그들에게 그곳은 그저 '삶'이다.

EBS 다큐에서 나무 위에 집을 짓고 사는 원시부족의 삶을 볼 때, 남편은 자신의 무능을 한탄했고, 나는 저들에게 지상의 집을 지어 불러들이는 정부의 태도가 옳은 것인가 생각했다.

그들을 지금 세계의 척도로 측정한다면, 하루 1달러 미만의 돈으로 살아가는 빈곤선이하의 사람들이겠지만, 그들 중 아무도 굶지 않는데. 그들 중 아무도 병들지 않는데. 그들 중 아무도 스스로를 죽이지 않는데.

이 책은 '빈곤'이라는 개념을 재정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척도가 돈인 시장경제로 평가했을 때 교환되지 않는 많은 자원을 이미 충분히 누리면서 살고 있는 사람들을 '빈곤'이라고 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말한다. 하루 1달러 미만의 돈으로 살아가지만 이미 그 땅에 충분한 물을 마시고, 열매를 따먹고, 오래된 집에서 비를 피하며 잠드는 사람들을 '빈곤'이라고 정의하는 건 부자들의 경제학에 동조하는 것 뿐이라고 말한다. 빈곤을 다시 정의하고, 기존 경제학지표들로 표현하지 못하는 자급에 대해 말한다. 공유재와 돈으로 교환되지 않아서 삶을 더 만족스럽게 하는 관계들에 대해서 말한다. 가장 부유한 나라의 불행에 대해서, 상대적인 부의 개념에 대해서 말한다. 척도를 수용하고 나면, 결국 도달하지 못하는 상대적 부의 덫 속에서 결국 아무도 행복할 수 없는 채로-허무한 부자들과 더 큰 부자이기를 원하는 부자들- 죽을 거라고 말한다. 새로운 기준, 새로운 척도, 새로운 삶의 양식에 대해 말한다. 돈으로 교환할 필요없는 자급과 소박한 만족.  

 

*  책은 공감할 만한 내용임에도, 덜커덩거리는 문장때문에 별이 세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