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 플랜 모중석 스릴러 클럽 19
스콧 스미스 지음, 조동섭 옮김 / 비채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 유명해서 기대치가 높았다. 거금을 눈앞에 두고, 사람이 악해진다,는 개인적으로 영 동의하고 싶지 않은 줄거리란 걸 애초에 알고 시작하는 거니까, 문제는 그 과정이 얼마나 설득력 있는가, 더하기 얼마나 흥미진진한가, 였다.    

읽으면서, 내내, 나는, 왜 이 화자는 자신이 얼마나 악해질 수 있는지, 의심하지 않는가 의아했다. 그리고, 또 왜 이토록 돈에 매여 있는가 생각하였다. 내가 생각한 원인은 미국의 문화, 돈을 대하는 문화적 방식이 주인공을 그런 식으로 자기합리화하면서 범죄를 저지르게 했다고 생각했다. 자기자신의 도덕성을 완전하게 믿는 태도, 그러면서도, 현재 삶에 대한 불만으로 들끓는 자기자신과 아내, 더하여 문화적으로 조장되는 물신주의.   

사실, 화자가 자신의 도덕성을 확신하는 것은, 상대적으로-다른 두 명의 공범에 비하여- 자신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비롯된다. 그렇지만, 나는 절대반지를 거부하는 회색마법사 간달프의 태도로 내 자신을 믿지 못한다. 그래서 그의 태도가 의아했다. 그리고, 이런 지나친 확신을 경계해야 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나는, 우리 문화 안에, '행복은 부로부터 나오지 않는다'는 수많은 은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부자의 가을걷이 볏가리 뒤에 웅크린 채 깔깔 대는 거지 모녀에 대한 묘사를 어린 날 내 어머니로부터 들었었다. 그것은, 반복되는 문화적 은유 속이 계속된다. 그래서, 화자가 점점 그 돈 자체를 포기하지 못하는 과정에 공감하지 못했다.

화자가 남성이면서 갖게 되는 여성에 대한 묘사에 또 의아했다. 노골적인 팜므 파탈은 아니지만, 오히려 더 나쁜, 구조 상 화자의 변명에 동원되는 그의 아내에 대한 묘사다. 손에 피를 묻히지 않고, 남편의 손에 피를 묻히도록 하는 그의 아내는 많은 이야기 속에서 참으로 흔하고 매번 나의 미움을 산다. 그만큼은 화자에게 설득당한 거다.

그리고, 이야기 말미에 붙은 해설을 읽으면서, 나는, 그 해설에 내 자신이 떠올라서 두려웠다. 해설에서 말하는 원인은 내가 생각한 원인과 달랐다. 그 속에서 주인공이 범죄를 저지르는 원인은 '친구없이 가족 내에 고립된 삶'과 '지나친 가족주의'였다. 화자가 이야기 속에서 잠깐 언급하지만, 도대체 친구란 어떤 존재이길래라는 게 나의 의문. 친구를 어떻게 안단 말인가. 친구란 어떤 존재란 말인가. 그런 걸 원인이라고 떡하니 명시하다니 이상하지 않은가. 해설이 이상하다고 말해버리고 말테다.

번역의 문제로 냉소적인 원작의 많은 부분이 훼손되었다고, 그래서, 화자의 성격이 많이 사라졌다는 리뷰를 봤다. 아마도 그래서 내가 수긍하지 못하는 게 있는 거라고, 그래서 그만큼 재미도 덜했던 거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