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단은 30분 다큐.
거기서 보여준 방법은 일본의 차고지증명-차를 살 때, 어디에 둘 지 미리 증명해야 한다-

"와, 우리도 저런 걸 하면 되지 않을까?"
"그럼 지금 있는 사람들은? 경찰이 주차단속을 계속 해야 해?"
"그럴 수도 있지."
"뭐, 그럴 수가 있어? 주차문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고."
"왜 해결할 수 없어. 해결해야지."
"이미 심각해져서, 빈터나, 골목 여기저기 불법 주정차를 하는데, 그걸 계속 단속하라고?"
"필요하면 할 수도 있지. 단속도 하고, 새 차를 구입하려는 사람한테 차고지 증명도 하게 하고."
"그럼 벌써 차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어쩌고? 형평성 문제는?"
"재수지."
"야, 무슨 정책을 그런 식으로 하냐, 복불복 정책이잖아."
"그런데, 60년대에는 환경규제 없었어. 그렇다고 지금 그 규제를 복불복 정책이라고 할 수는 없잖아. 주차문제로 이웃간에 살인이 날 지경이면 해결책을 찾아야지."
"지금 상황은 너무 심각해서 해결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그럼 주차할 데 없는 사람은 차를 사면 안 되나? 내가 서울로 이사가면 어떡해"
"차고지를 못 구하면, 차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도 있을 수 있는 거지."
"내가 생계형 운전자야, 그럼 어떡해. 차가 꼭 필요해."
"그때는 그럼 집을 구하는 것보다 차고지 구하는 게 중요한 문제가 될 수도 있는 거지."
"뭐 그런 말이 있냐? 사람이 사는 데 집보다 차고지가 중요하다니. 그런 식이면 어떻게 더 말을 하냐?"
"해결이 안 되는 문제가 어딨어. 해결책을 찾아야지."
"야, 너 지금 나랑 싸우자는 거냐. 어떻게 더 말을 하냐. 그만 하지."


어디선가 무언가 나는 더 이상 할 말을 못 찾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한참을 가만히 아무 말도 안하고 있으려니.

"뭐라고 말을 해보지."
"나는 싸우고 싶었던 것도 아니고, 아직도 나는 주차문제를 생각하고 있어서, 말을 하게 되면 그 말을 하게 될 거야. 그런데, 00씨는 그 말을 하지 말자고 하니까. 말을 안 했던 거지."
"회사에서 나는 어느 순간 더 이상 대화가 안 되는 순간이 되면, 서로 다른 사람이구나, 하고 말을 그만 하게 되더라. 설득의 능력이 없는 걸 수도 있는데, 그런 상황이 있는 거잖아. 예전에는 언성을 높이고, 내가 일부러 가서 술이라도 먹고 풀자고 했었는데, 요새는 아예 귀찮아. 다르면 다른 대로 그냥 가는 거지."
"그래, 나도 그렇게 해."
"그런데, 왜 지금 이렇게 계속 하는데."
"00씨는 술을 먹고 들어오면, 이런 이야기 잘 받아주고 오래 잘해. 그런데, 지난 금요일에 그런 얘기 하길래, 내가 맨정신에 하자고 했더니, 다음 날은 아예 무슨 얘기를 하려고 했는지도 잊었더라."
"내가 말하고 싶었던 건, 정책이 실현되면서, 그 과정에서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거지. 게다가 손해를 보는 사람은 가장 약자일 수도 있다는 거지."
"그렇지, 정책이란 그런 거지. 경기도 교육위원들도 나쁜 뜻이 있어서 반대했겠어. 돈은 한정되어 있는데, 급식비 낼 수 있는 사람까지 보조해줄 수 없다는 거지. 김남주가 출산장려금을 받아도 되느냐고 분개하는 사람들이랑 같은 논리인 거지."
"그렇지, 그 사람들도 선의는 있었던 거겠지?"

"나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단정하는 게 참을 수 없는 거지. 그리고, 나 학교 다닐때, 학교 옆에 개천이 반만 복개되어 있었는데, 그걸 다 복개하려고 했었어. 학생회나 환경단체나 여기저기서 나는 당연히 복개하면 안 된다는 말을 계속 들었었는데, 간만에 동기들이랑 저녁을 먹었나, 술을 먹었나 그 얘기가 나왔는데, 딱 한 사람이 복개를 찬성하는 거야. 걔가 차를 가지고 있었거든. 그러니까, 나는 차를 가지고 쓰는 건, 여러가지 다른 가치판단을 하는 기본이 되는 거 같더라고. 그러니까, 차를 가진다는 건, 큰 도로를 내는 것, 개천을 덮어서 주차장을 만드는 것, 뭐 여러가지 다른 것들을 정할 때 자기 입장을 다르게 한다는 거란 생각이 들어서. 차를 가지는 게 더 불편한 일이었으면 해."
"그래. 이러니, 저러니 해도 차를 쓰는 건 자기 편하자고 하는 거지. 그런데, 나는 여러 공공기관들이 충분히 주차문제를 해소하려는 노력없이, 개인에게 강요한다는 생각이 들어. 공공시설, 학교나 교회, 면사무소나 여러가지, 밤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해준다면 많이 해소될 텐데, 그런 노력없이, 하는 건 아니라고 말하려던 거야. 그리고 지금의 주차문제는 한가구가 살던 단독주택이 다세대 주택으로 변하면서 발생한 문제라는 것도 고려해야 되고"
"그런데, 단독주택을 다세대 주택으로 개조할 때 허가를 내주는 것도 정부고, 차고지를 증명하라는 것도 정부고, 길을 내는 것도 정부고, 그러니까, 나는 해결할 방법도 있다고 생각하는 거지."

말은 오래 했는데, 끝은 어찌났던 것일까.(0906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