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인간 안나
젬마 말리 지음, 유향란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읽다보니 기시감이 든다. 청소년들이 떼로 갇힌, 거기는 기숙학교일 수도 있고, 소년원일 수도 있고, 정신병동일 수도 있다.  

내가 머릿속에서 그린 풍경은 영화 속의 고아원 풍경이었다. 뮤지컬인데, 똑같은 옷을 입은 소년들이, 멀건 죽을 받아 자리잡고 먹는 풍경.  

이 소설의 설정은 책소개에 이미 드러나 있다. 그리고, 이건 미래소설이면서, 청소년대상 소설이다.  

먼 미래, 자연적인 죽음을 피할 수 있게 된 인간이, 한정된 자원때문에, 출산을 통제하는 상황에서, 합법적인 인간과 '잉여'인간이 존재한다. 더이상 인간은 출산을 하지 못하고, -이건 제약회사의 로비때문인데, 세계적으로 포고령 뭐 이런 것이 발효되어 기본값은 자신의 영생, 출산과 자신의 죽음은 선택지다-  합법적인 인간조차 엄격하게 제한된 자원만을 사용하고, 잉여인간에게는 더 엄격하게 자원을 사용할 것을 요구한다.

 지금은 선택할 수 있다. 나는 낭비도 절약도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럴 수 없는 미래에서 낭비에 대한 묘사는 아련하다. 그래서, 이상하다. 나는 적당한 말을 고르지 못하겠다. 이 미묘한 은유가, 이 상황에 대한 묘사에 나는 너무나도 뜨끔뜨끔했다. 잉여인간에게 요구되는 절제의 미덕은, 지금 내가 나의 남편에게 해대는 말처럼 들린다. 낭비에 대한 찬양처럼 들린다. 나는 영생보다 새로운 아이를 낳아 기르는 것을 선택하겠다. 그렇지만, 아이를 낳는 것처럼 자원을 낭비하는 처사가 어디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아이를 낳지 않고, 자신이 죽지 않기로 선택하는 사람만큼, 아이를 낳기로 하고 자신이 죽기로 한 사람도 그렇게 소비적으로 보인다.  

나는 남편에게 지구를 생각해서 아끼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가장 큰 낭비는 역시 아이들이 아닐까. 그래서, 나는 아이들이 더 많고, 덜 쓰는 세상을 바라는 지도 모르겠다. 죽음이 언젠가 닥칠 현재의 내가, 아이들 때문이 아니라면, 과연 자원을 아낄 필요가 무엇이겠는가 말이다.

친구가 임신소식을 전하며, '새로운 걸 뭐든 좋아하는 우리는 좋아'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 말이 나는 너무 좋아서, 계속 생각했다. 나도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