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피우는 아줌마
이숙경 지음 / 동녘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나, 이 책을 좋아하지 않았다. 양이 얼마 되지도 않는 것이 하드커버로 장정되어 비쌌고, 결혼하지 않은 내게는 너무 당연할 것들이 오래도록 너무나도 진지하였다. 어느 정도 예상했으면서도 덜컥 산 것은 인터넷 서점에 올라온 아줌마들의 찬사 때문이었다.

'아이를 낳고 나서 페미니스트가 되었죠'라고 말하는 여자들이 이렇게 많은데, 애도 낳아본 적 없고, 덜컥 겁이 나서는 우습게도 살림부터 차려 볼 궁리를 하는, 그 다음의 걱정을 미뤄두는 머리로만 익힌 페미니스트인 내가, 아줌마가 아줌마에게 마음으로 한 말들에 논평하려하다니 금방 후회하고 만다.

머리로만 익힌 페미니스트인 나는 실전에 약하고, 그러면서도 실전의 경험들에는 고약하게도 냉소적이 되는 탓에 아줌마가 하는 밥하는 얘기, 담배 피우는 얘기, 결혼으로 얽히는 새로운 가족들의 관계를 그만큼의 무게 없이 받아들이고 있었다. 아직 내게 닥치지 않아, '까짓 거, 그렇게 못할까봐, 뭐 이렇게 걱정이 많담'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줌마라면 아이를 낳아 그 고됨에 무언가를 집어던지고 싶었고, 아직도 어린애인 남자를 어른 대접하며 먹이고 입히는 데 버럭 짜증난 적 있었고, 밤 늦은 귀가에 어처구니없는-나보다 열 배, 스무 배 더 많이 늦는 남자에게- 폭언을 들은 적 있었다면 감상은 달라졌을 거다. '자기자신을 불쌍히 여기라'는 말이 고마웠을 거고, '야식 식당' 얘기에 '어, 내가 써먹어야지'할 거고, '팥쥐가 더 좋다'는 아이 얘기에 피식 웃으며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아직 처녀애라서 감상이 그만큼 절절하지 않아도 지난 다음, 이 아줌마에게 감사하게 될 거란 걸 안다. 내일의 나에게 보내는 격려, 위로, 칭찬, 충고라는 걸 안다. 나 같은 애한테는 '뭐 별것도 아닌데'란 말을 들을 각오도 하고, 또 어떤 남자한테는 '못되먹은 병원균'쯤으로 취급될 각오도 하고, 또 어떤 아줌마한테는 '어머, 그래도 그러면 안 되지 않나?'하고 조금은 경계대상이 될 각오도 하고 한 말이란 걸 안다.

졸업하고 오래 못 본 나의 여자친구들을 가끔 우연으로라도 만나게 될까, 근심하는 지금 결혼한 다음이 걱정되어서는 아줌마가 지금까지 자신이 겪어온 일들 들려주고 나누자고 채근하는 게 고맙다. 누군가 다르게 살아가려고 하면서 조금씩 실천하고 있으니, 당신도 하라고 할 수 있다고 손내미는 이 아줌마가 정답다. 한 번 깨지기가 어렵지, 깨고 나면 일사천리인 여자에게만 무수히 많은 금기들 '우습다'고 스무 번쯤 말한 다음 깨어보자는 이 선동가 아줌마, 부럽다. 부러워만 하는 게 아니라, 그녀의 정의대로 나, 아줌마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