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
베어 하트 지음, 형선호 옮김 / 황금가지 / 199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렸을 때, 엄마는 내게 뜨거운 물을 그대로 버리면 안 된다, 고 말했습니다. 지렁이가 죽게 된다고. 그러나, 지금 바짝 키에 맞게 올라온 씽크대에 개숫물이 어디로 가는지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부엌의 구조에서는 엄마에게도 잊히는 교훈인 모양입니다. 감을 딸 때는 까치밥을 남기고, 짚신은 디뎌도 개미가 죽지 않았다고 말하는 걸 듣고 있으면, 이 책 속의 인디언의 지혜도 다르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병을 만드는 것은 바이러스와 세균과 불결함 만이 아니라, 타인의 저주와 자신의 죄책감도 있는 거라고 말하는 것도 또 마찬가지입니다.

저자는 정규교육을 받으며, 인디언 주술사 교육을 받았습니다.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태도를 배우고, 합당한 자격있는 주술사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가 배우는 과정을 묘사할 때 반성을 많이 했습니다. 개미굴 위에 누워 자신 위로 지나가는 개미를 쓸어낼 수 없었다고 말하는 인디언을 볼 때, 불빛 아래 작은 날벌레를 쳐서 떨어뜨리는 나의 성급함을 반성합니다. '지나가는 개미가 내게 끼치는 해악은 없다'고 '간지러울 뿐'이라고 말하는 것에 부끄러웠습니다. 자신을 위해 주술을 쓰는 순간 주술사가 아니라고, 사냥하는 목적은 먹고 나누기 위한 것이라서 사냥꾼은 첫 사냥물을 자신이 먹어선 안 된다는 인디언의 교훈들이 가슴에 닿았습니다.

그런 태도들 여전했다면, 자연이 지금처럼 이렇게 되었을까, 사람들이 지금처럼 이러할까, 묻습니다. 천천히 되돌리려는 움직임들이 빌딩숲의 시계추같은 사람들을 어느 순간 기쁘고 행복한, 자연과 함께하는 사람들로 되돌릴 수 있을 거라고 순진하게 기대합니다.
바쁘게 시계를 보는 대신 어느 날에는 바람부는 들판에 앉아 눈동자만을 움직이며, 날벌레와 새와 나무와 풀을 관찰할 거라고 결심합니다. 작은 날벌레가 나를 눈치채지 못하도록 그렇게 가만히 있을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