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한 다음에 인생을 즐기자
에바 헬러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1월
평점 :
품절


난 여성인 내 자신에게 얼마나 관대한가, 여성인 내가 다른 누군가에게 친절을 베풀어야 한다는 고전적 여성상에 대한 강박만큼 혹여 여성인 나를 드러내어 도움을 청해서는 안 된다는 현대적 수퍼우먼 페미니스트에 대한 강박때문에 내 자신을 고되게 하지는 않는가.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에 솔직한가?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 내 자신에게 하게 되는 질문이었다.

지빌레는 '지금까지, 수천년동안 남자가 여성을 부양했으니, 지금 네가 나를 부양하는 것은 사실 공평하다'는 식의 남자를 부양하다가, '넌 몸매를 좀 가꾸어야 해'라는 일방적인 결별을 당한다. '너는 해방된 여성이니, 내게 연연하지 말라'는 절친한 충고까지 말이다. 그러나, 그녀는 '네게 필요한 건 새로운 연인이야'라는 친구의 충고도 가볍게 들어넘기고, 자신에게 스무번도 더 물어 도달한 간결한 소원-그 남자의 새로운 관계의 파탄-을 실행에 옮긴다.

여성인 내가 자주 잊는 것은 내 자신에게 진정 원하는 게 무언지 묻는 것이다. 늘 어떤 이미지들에 갇혀서는 원하는 것들에 솔직하지 못하다. 지나친 소심함! 지빌레가 이런 나의 단점을 가뿐히 뛰어넘을 때 몹시 부러웠다. 그렇다고, 내가 그녀의 그런 결정들 충분히 동의한 건 아니다. 그런 남자 뭐가 좋다고 반, 그런다고 달라질게 뭔가 반...

그렇지만, 예상보다 굉장히 많이 달라진다!!!! 모든 해피엔딩은 관계의 회복만을 의미하지는 않으니까, 진면모를 알게 되고 사기꾼을 등쳐먹는 기쁨을 누리는 것도 아주 많이 행복한 엔딩이다.

여성에게도 천가지 만가지 표정이 있음에도, 얼마나 같은 얼굴 같은 표정을 바라는지 소름끼칠 때가 있다. 맞추기 너무 힘든 옷에 몸을 맞추는 것처럼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상은 모순되고 불가능하다. 그건 고전적 여성상이건, 현대적 여성상-그 남자의 입에 붙은 '해방여성'-이건 마찬가지다. 둘 중 어느 것도 까다롭지만,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를 상쇄하거나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늘 투정으로 비칠까 '나도 힘들어'란 말 하지 못했는데, 소설을 보니 위안이 된다. 내가 행복하다면, 내 마음이 평화롭다면, 나는 난데 뭐 그리 고달프게 한단 말인가! 다시 한 번 묻고 움직이기 시작한다, '내가 정말로 원하는 건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