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집에 온 큰 아이가 일찍 깨서 같이 집을 나선 날, 차 안에서의 말들이다. 

아이는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을 읽는 중인데, 갑자기 

"아비지옥이 뭐야?"

"모르겠다. 지옥이 여러개인데"

"나태지옥밖에 모르겠네. 에이, 검색할께."

폰으로 검색해서 나온 아비지옥,은 범어 아비치의 음차로 가장 큰 죄를 지은 죄인이 가는 지옥으로 고통의 간극이 없이 계속되는 무간지옥과 같다, 고 나왔다. 

"무간지옥이랑 같은 거네."

"그런데 고통에 간극이 없어? 그러면 그게 고통인가?"

"고통이 고통이려면 고통아닌 순간이 있어야 하는데, 쭉 고통이면 익숙해지는데. 고통에 간극이 없으면 고통이 고통인 줄 모르게 되는 거라서 거기는 그냥 무척 권태로운 지옥인가?

"에? 최악의 죄를 저지른 사람들이 가는 지옥인데 고통이 없다고? 이상한데."

"이상한가?"

그러면서 책의 그 대목을 잠깐 읽어주는데, 역시 사람 생각은 거기서 거기네, 싶었다. 

고통이 간극이 없이 계속된다,는 말은 고통이 최대치를 늘 갱신하면서 상승하는 것인가, 그래야만 고통을 고통으로 인식할 수 있는 거다,라고 정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