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준비를 하는데 초4딸래미가 "오늘이 일본군위안부기림의 날이라는데 뭐야?"라고 물었다. 

일본군위안부,가 뭔지부터 설명을 해야 한다. 

뭐라고 하지. 

전쟁에 대해 말해야 하고, 군인에 대해 말해야 하고, 위안,이 뭐였던가에 대해서도 말해야 했다. 

내가 뭐라고 말했더라. 뭔가 애써서 설명을 하고는, 지금 쓰면서는 검색을 했다. 어떻게들 설명하고 있으려나, 하고. 

"일제시대에 일본이 전쟁을 했잖아. 전쟁을 하는 군인들이 사람을 죽이니까 제정신이 아니잖아. 총들고 있고 제정신이 아닌 사람들이 통제가 안 되니까, 여자들을 데리고 가서 위안이라는 걸 해주게 억지로 시켜. 식민지 여자들이나, 점령지 여자들이나 본국의 여자들을 칸막이 방에다 넣어놓고 군인들을 밀어넣지. 군인들은 그 여자들을 때리기도 하고, 끌어안기도 하고, 그러니까, 여자들은 방에 갇혀서 계속 군인들한테 나쁜 짓을 당하지. 그러다가 애도 생기고"

"돈 벌게 해 준다고 속여서 잡아가기도 했고, 군인들 도망갈 때 죽이기도 했어."


다 늦게 지금 적으면서, 참 사전이 있었는데, 사전을 찾아서 알려줄 걸, 하고는 사전을 찾아봤다.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 사실과 관련된 문제를 국내외로 알리고, 피해자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고 기리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

사전을 찾아서는 설명하지 못하겠다. 

일본군 위안부,가 뭔지 아는 사람에게 하는 설명이다. 


기리는 게 뭐야? 

기억하고 또 뭔가 다른 의미가 있는데, 뭐지. 


다음 국어 사전을 찾아봤는데, 추어서 말하다. 라고 되어있다. 추어서,라는 말이 들어있다. 

타동사

[(명)이(명)을](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우수한 점이나 잘하는 일을) 추어서 말하다.

  • 시인의 업적과 정신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은 그의 이름을 딴 문학상을 만들었다.

  •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 대왕의 업적을 기리는 뜻에서 한글날을 10월 9일로 제정하였다.

 


집에 있는 그림책 두 권을 꺼내 두고 출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