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면들이 필요한가. 

공지영의 인터뷰에서, 내 아이가 맞았으면 달려나가 싸우겠다,를 듣고 고개를 갸웃한 적이 있다. 

더 글로리의 김은숙 작가는 자신의 아이가 학교폭력의 희생자가 되었을 때, 돈이 있으니 자신은 가해자들에게 지옥 맛을 보게 해주겠다고 했지.

 

나도 아이를 키우고 있으니, 상상을 하기는 하는데, 내가 아이에게 하는 말은 이런 것이다. 

"겁 먹지 마라. 상대도 사람이다. 겁 먹었어도 겁 먹은 거 들키면 안 된다."

"얕잡아 보이지 마라."

이런 대비에 대해 말한 다음, 다시 저 질문에는 대답을 회피한다. 

모르겠다. 나는 어떻게 할 지. 재판을 하고 싶지도 않고, 뭐가 지옥 맛인지도 모르겠다. 


나는 아이를 위해 대신 싸워 줄 마음이 없다. 

아이들의 싸움에서 내 아이는 절대 잘못할 리 없다,는 확신도 없다. 


내가 해 줄 수 있는 건, 늘 같은 자리에서 기다려 줄 수 있다. 딱 여기까지가 부모의 자리라고 생각하고 있다. 


첫 아이가 태어나기 전에 계획은 그럴 듯 했다. 육아서를 보고, 만 세살이 되기 전에 티비는 보여주지 않겠다고도 했었지. 그런데, 아이를 낳고 친정에서 몇 주 보내는 동안, 나조차도 티비없이 못 지내겠더라. 모로 누워 젖을 물리면서 소설책을 읽는 나를 보고, 잠든 아기를 방에 두고 거실에 나가 티비를 보는 나를 보고, 에이 못 해먹겠다 그랬다. 나도 물론 안 보여주겠지만, 아이를 맡길 때도 부탁해야지 했었지만, 나도 못 하는 걸 어떻게 부탁하나, 그랬다. 

석달의 출산휴가 다음에 출근하면서 아이를 맡기면서는 바란 것은, 저녁에 살아서 만나자, 정도였달까. 좋은 분이었지만, 내 기준에 맞춰달라고 안 했다. 일주일에 두 번쯤 씻기는 나의 기준은, 아주머니께 지나치게 낮았다. 그저 아이가 만나는 어른 가운데, 엄마 같은 어른도, 아줌마 같은 어른도, 아빠같은 어른도 있는 거라고 생각했다. 아유, 예쁘다,라는 말이 아이에게 좋은 말이 아니라고 내가 생각한다고 해서, 내 아이에게 '아유, 예뻐라'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입을 막을 수는 없는 거라고 생각했다. 

첫째가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걸 보면 가슴이 벌렁거렸다. 어른이고 엄마인 내 눈에 보이는 아이는 너무 위태롭게 보였다. 그런데, 그런데, 내가 나의 불안을 아이에게 들키면 아이는 나의 불안을 보고 자신의 불안을 키워서 놀지 못할 거 같았다. 그래서, 나는 놀이터 구석에서 아이를 흘끔거리면서 풀을 매거나, 책을 읽었다. 


아이를 키우면서, 남편과 싸운다. 남편의 어떤 말과 행동이 내 눈에 부당해서, 남편이 아이를 혼내는 건 너무 꼴 보기 싫다. 남편조차 그렇다. 그러지 않으려고 해도, 남편과도 싸우게 된다. 내 생각에 혼내지 말아야 할 일에 아이를 혼내서, 내 생각에 어이없는 이유라서. 


그러면서, 부모는 어리석고 약한 존재구나, 생각한다. 

특히 엄마인 나는, 내 자신을 과신하면서, 아이를 안다고 선을 넘는다. 내가 그런다는 걸 알기 때문에, 나는 멀찍이서 보면서도 보지 않는 척 연기한다. 

우는 이유를 말해주지 않는 아이가, 자기 마음속에 자기 감정을 정리하게 둔다. 

아이가 들었을 말들, 내가 들었다면 분개했을 어떤 말들을 부러 들으려 애쓰지 않는다.

내가 대신 듣지도, 대신 화내지도, 대신 말해 주지도 않는다. 

아이가 듣고, 화내고, 내게 말해 줄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세 살 먹은 아이 손을 잡아 미끄럼틀 위까지 올려주고, 또 내려주는 엄마가 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자기 손으로 잡고 올라갈 수 있을 때 올라가는 아이가 되게 하려고 애쓴다. 


"그래? 엄마가 뭘 말해줄까?"라고 물으면 대개는 "아니"라고 대답한다.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