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글의 달인이 되는 법 : 우리말 어원 사전 - 알면 알수록 빠져드는 ‘말’들의 히스토리
조항범 지음 / 태학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있게 말하는 것과 정확하게 말하는 것. 

정확하게 말하는 것과 확정적으로 말하는 것. 

학자라면, 정확하게 말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래서 전체적으로 막 재미있지도 확정적이지도 않다.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이런 저런 어원설이 있다고 말해주는 책이다. 


기억나는 건, 점잖다,라는 말이 그러니까 조용하고 분별있게 행동하고 뭔가 좋아보이는 이 말의 어원이 젊지 않다,라는 것. 

주책맞다,의 주책이 줏대,와 같은 뜻이라는 것. 그런데 아예 반어적으로 의미변화가 생겼다는 것. 


화냥이라는 말이 병자호란, 이후 적국에 끌려갔다가 돌아온 여자를 이르던 환향녀,에서 유래했다는 게 사실이 아니라는 것. 나는 그러니까 환향녀,라는 어원설을 믿었던 거다. 전설의 고향,에서도 봤고, 그런데, 이건 여성주의적 이야기를 만드는 시대적 분위기 안에서 그런 거지, 실상은 병자호란 이전에도 이미 그 말은 있었다고 하더라. 신기하다. 사람들은 그래도 그런 이야기를 만들고, 그런 이야기를 하면서 상황을 읽는다. 실제 어원은 창녀를 이르던 중국말 화낭(花娘)에서 유래했단다. 이건 이야기가 너무 없네. 그래서 사람들이 믿었네, 싶다. 


을씨년스럽다,의 을씨년이 을사늑약,의 을사년이 아니라는 것. 을사늑약이 있기 전에 이미 그 말을 쓰고 있었고, 기록도 남아았다고. 1785년 큰 흉년이 이어지던 을사년에 대한 말이라고 한다. 굶지 않는 시대의 사람들은, 추상적인 국가의 존망에 이런 어원을 연결했구나, 싶다. 


궁금하면 하나씩 다시 찾아보겠네, 싶다. 

말의 어원에 이야기를 하나씩 달고, 그리스로마신화처럼 말해주면 좋겠지만, 원래 그런 게 말이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먼 훗날, 혜자스럽다,나 창렬하다,같은 게 그리스로마신화처럼 남으려면 우선 그 말이 살아남아야 겠지. 

만들어지고 입에서 오르내리고, 변화하고 다시 만들어진 배경에 대해 또 이야기를 만들고, 말이란 참으로 신기하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