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기와 통신과 물, 가스가 연결되어 내게로 온다.
그래서, 어떤 말들이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
전기를 만드는 회사에서 일한다.
내가 취업했을 때는 전기를 만들고, 팔기도 하는 회사였다. 그래서 신입들에게 '세금'이 아니고 '요금'이라고 정정시킨다.
만들기도 팔기도 하는 회사인데 공기업이라서, 같이 취업한 친구는 자기 물건 쓰라고 영업했지만-그 친구는 통신사였던가, 카드회사였던가-, 나는 아껴쓰라고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이익을 내려고 격렬하게 노력하지는 않는 회사라서 좋았다.
보기 흉한 송전탑이 산을 가로지르는 이유나, 주렁주렁 통신선이 전봇대에 매달리는 이유나, 땅 속에 뒤죽박죽 파이프가 지나가는 이유는 편리 때문이다. 와이파이가 있지 않느냐고 하지만, 해저를 가르는 몸통보다 두꺼운 케이블을 지난 다음에야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아니면, 머스크의 로망대로 촘촘히 띄운 인공위성이 하게 되는 일이기도 하거나.
도시에서 나고 자라지 않았다.
전기 말고는 어렸을 때부터 쉽게 집으로 들어온 것들이 아니다.
어렸을 때, 물은 마당의 펌프에서 길어서 부엌에 통에 채웠다. 펌프가 수도꼭지가 되고, 그게 또 부엌으로 들어갈 때도, 그 물은 사람을 불러 뚫어 만든 지하수였다.
여전히, 가스는 망에서 오고 있다는 걸, 자각하지 못한다. 아직도 엄마가 사는 시골집에는 떨어지면 트럭이 새 가스통을 싣고 와서는 다 쓴 가스통을 싣고 간다.
전화는 언니가 고등학교를 갔을 때도 집에 없었고, 한참이나 없었고, 아빠는 동창회 전화를 돌리는 나에게, '전화요금은 괴산 중놈이 내느냐'고 화를 냈다.
에코페미니즘,을 읽을 때였던가, 도시의 상수도망을 만들기 위해 시골의 지하수원이 고갈된다는 이야기를 읽었다. 쉽게 물을 쓰지 못하던 어린시절과 겹치면서, 언제나 물들이 귀하다.
전기회사에 들어와서 '세금'이 아니라 '요금'이라고, 내가 쓴 만큼 내는 돈이라고 들으면서, 전기도 어린시절의 물처럼 느껴진다.
인터넷망,을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자원이 들어가는지 듣고 나서는, 산다는 게 두렵다.
그런데도, 망을 통해 공급되는 이 많은 것들은 망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쉽게 자각하지 못한다.
요금이 충분히 비싸지 않으면, 물을 물 쓰듯, 전기를 또 물 쓰듯 쓸 수 있게 된다. 자각이 없다. 내가 쓰는 물이 무엇의 댓가인지, 내가 쓰는 전기가 무엇을 치르고 내게 오는 건지, 아예 느끼지 못한다. 공기가 아닌데도 공기라고, 공공재라고, 생각하게 된다. 지금은 통신이나 인터넷까지도 그렇게 된 것도 같다. 필수재, 공공재, 그래서 비용을 올려서는 안 된다,고들 한다.
정말 그래?
게다가 망을 통해 공급되는 물건은 무언가 착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망 자체에 들어가는 돈에 대해 자꾸 잊는다. 관심은 최초생산방식에 집중되서, 망 자체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만든다. 그리드,를 읽을 때 미국에서 집에 태양전지를 올리고, 만들 수 있을 때 만들어 팔고, 부족할 때 망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부자들 때문에, 망의 부하는 커지는데, 비용을 청구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듣는다. 이익이 나야, 망을 개선할 수 있는데, 이익을 낼 방법은 아예 없는 구조를 꽤나 진지하게 친환경이라 좋은 거라고 말한다. (최근 읽은 기사에서 한전에서 연간 망을 유지보수하는 비용이 6~7조라고( https://www.energy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62713 )하더라.)
물과 전기가 공공재라서 요금을 올리면 안 된다는 사람들은, 이게 얼마나 많은 자원이 투입되서 누리는 편리인지 댓가를 치르고 싶지 않은 걸까. 아니면, 내가 아니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걸까.
https://www.youtube.com/watch?v=EyAhO7_981g&t=20s
https://www.youtube.com/watch?v=T65PZXxD7t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