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혼,을 볼 때도 남자와 여자와 아이,에 대해 생각했었다. 환혼의 도화부인은 장강의 몸에 환혼한 왕의 아이를 낳는다. 왕은 그 아이가 자신의 아이라고 주장하고, 장강은 그 아이가 왕의 아이라서 세상을 혼란에 빠뜨릴 거라고 생각한다. 애꿎은 도화부인은 아이를 낳고 죽었는데, 바람피운 적 없이도 바람피운 여자가 되어 불명예를 짊어지고, 불쌍한 장욱은 자기 자신의 운명을 제약하려는 집나간 아버지와 불명예를 짊어진 어머니의 그늘 아래서 자란다.


닥터 차정숙,에서 서인호와 최승희는 첫사랑이다. 애틋한 첫사랑이었는데, 서인호의 갑작스러운 실수? 사고로 차정숙에게 아이가 생기면서 헤어진다. 서인호는 차정숙과 아이를 책임지면서 살아가다가, 미국으로 연수를 가서 최승희를 다시 만났다. 최승희에게 아이가 생겼고, 최승희는 미국에서 아이를 낳아 키우면서 서인호를 가끔 만나다가, 다시 한국으로 들어와 서인호와 같은 병원에 근무하면서 좀 더 자주 만난다. 차정숙은 이십년을 두 아이를 키우며 가정주부로 살다가 죽을 고비를 넘기고 레지던트 1년차로 다시 공부를 시작해서 그 병원에서 일하기 시작한다. 


일부일처제나 가부장제가 인간의 본성을 거스른다는 건 틀린 말은 아닌 것도 같다. 

그렇지만, 일부일처제나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불리한 제도라는 건 동의하기 어렵다. 

짧은 쾌락이 전부라면, 남성이 아이에게 가지는 책임감은 추상적일 수밖에 없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길고도 험난한 과정이기 때문에 여성이 그 전부를 떠받치기는 어렵고, 할 수 있다면 그 짧은 쾌락으로 생겨난 아이에 대해 남자에게 책임을 요구해야 한다. 

혼자 아이를 낳아 키우면서도 지금 교수인 최승희는 차정숙에 비해 자신의 삶이 억울한 게 많은 삶이라고 생각한다. 젊은 날 자신의 남자친구를 빼앗은 차정숙이, 남편의 그늘 아래에서 정상가족 속에서 아이를 키운 차정숙이, 그렇게 애인을 빼앗긴 자신의 가해자라고 생각한다. 그 관계를 털어내지도 못한 채로, 그런 원망과 억울함 가운데, 다시 만난, 이미 결혼한 남자와 아이를 만들고 낳고, 기른다. '네가 너무 궁금해서, 보고 싶어서'라고 말하면서 우는, 아비없는 아이를 낳아 기른다고 가족들에게도 내쳐진 최승희는 불쌍한 마음이 든다. 그렇지만, 다 그럴 수도 있지만, 한국에 들어와 아이를 빌미로, 관계를 지속하는 것은 다른 일이다. 정상가족의 환상에 사로잡혀서 이미 자라서 고등학생인 딸아이의 아비를 만들어주겠다는 말로 다시 그 남자와 여행을 하고, 만나고 사랑이라고 말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 아이가 생겼다는데 기뻐하지 않았다는 말에, 나는 언제나 그랬다는 서인호를 오히려 이해한다. 짧은 쾌락 뿐인 관계에서 길고 오래고 무거운 책임이 생겼다. 

남성이 가지는 가족 내 권위는 여성인 어머니가 아이를 독려해야만 가능하다. 부재하는 많은 시간 어머니가 지지하지 않는다면, 아버지는 가족을 겉돌다가 내쳐지는 비루한 존재가 되고 만다. 어머니는 가족 내 권위, 허명을 지워줌으로써 남성을 아버지로, 책임지는 자로 만든다. 위태로운 자신, 아이를 돌보고 살려야 하는, 아이의 위험을 스스로의 위험으로 감당해야 하는 여성인 자신의 위태로움을 남성에게 의지하면서 그렇게 아이를 키운다. 혼자서는 하기 힘든 일을 해내기 위해 짧은 쾌락 뿐이지만 남자에게 가부장이라는 거대한 문화적 최면을 걸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