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마지막화를 봤다. 비극을 각오했는데, 해피엔딩으로 닫혔다.
정말 해피엔딩이라고 할 수 있을까,는 지금 이 이야기에 한해서, 두 사람의 사랑에 한해서 라고 말해야지.
장욱의 금패는 세자가 왕이 되는 데 쓰였고, 진무는 화조의 불길 속에 타 죽었다.
진무는 약한 자였으면서, 강한 자가 되고 싶었다.
자신보다 강한 자들이 명분이나 제도,로 그 힘을 자제하지 않았다면 그 힘을 축적하지도 못 했을 존재였으면서-진요원의 문을 열 수 없는 진씨가문 남자, 모계로 여성에게만 전해지는 힘을 가지지 못하는 명문가의 혼외자, 그래서 하잘 것 없는 약과 때문에도 마음이 상한다- 스스로 가장 강하기를 꿈꾸면서 세상의 혼돈이나 자신보다 약한 자의 어떤 괴로움이나 고통은 무시해도 된다고 생각해 버린다. 그러고는 세상의 혼돈과 약한 자의 고통을 무시하지 못하는 자신보다 강한 자에게 죽임을 당한다. 그래, 내가 바란 세상이지, 강한 자가 그 힘을 휘두르는,이라고 웃으면서 사라지는 진무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힘을 행사하는 장욱은 참으로 싫었을 거 같다. 환혼인을 처단하는 데에만 그 힘을 쓰는 힘을 스스로 봉인한 장욱이 만장회 술사들까지 불길 속에 태우면서, 환혼인 진무의 그 기이한 웃음을 듣는 것은 싫을 거 같았다.
죽음조차 뛰어넘는 강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은 행운이라기보다는 저주고, 이 이야기가 결국 모두의 죽음으로 닫힐 거라고 생각한 것은, 장욱의 얼음돌이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얼음돌이 있어서 죽음에서 살아 돌아왔다. 얼음돌이 있어서 살아 돌아온 진부연이 결국 얼음돌을 꺼내어 사라지게 해야 세상이 평화로워진다고도 생각했었다.
얼음돌이 그저 비유나 은유라면, 사라지지 않는 것일 수도 있겠지, 싶다.
세상은 평평하지도, 사람은 모두 똑같지도 않다. 모두 다른 사람들, 근력도 키도, 마음의 단단함도 모두 다른 사람들이 작게는 가족, 가문,으로 서로를 버티고 크게는 나라로 서로를 버티고 있다. 오랜 시간 동안 쌓인 것들을 무화시키고 시작할 방법은 없다.
그저 받아들이고 시작해야 하는 세상의 울퉁불퉁함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세상의 울퉁불퉁함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살아낼 수 있나.
가장 강하지는 않더라도, 나보다 약한 존재가 있음을 안다.
힘은 나보다 세도, 마음은 나보다 약한 사람도 있다.
서로 다른 존재에 기대면서, 나의 강한 면으로 상대의 약한 면을 돌보고, 상대의 강한 면에 나의 약한 면을 의지하면서, 그렇게 살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