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을 때 마음이 불편한 대목이 있었다. 

책의 저자는 근근히 공부를 이어가는 대학원생일 때, 명절을 맞아 작은 선물을 준비해서 선배와 선생님께 드리는 이야기를 한다. 선물을 드리는데, 선배가 '뭐하러 하느냐, 안 해도 된다'라고 말하는데 '나는 이런 것도 할 수 없는 사람인가'싶어 상처받았다고 쓴다. 

그럴 수는 있지만, 나는 나도 그렇게 말할 사람이라서 마음이 편치 않았다. 모든 선물이 그저 다 좋은 것은 아니다. 

회사에 들어온 지 얼마 안 된 후배들이, 해외여행에서 돌아와서 여행지의 과자 따위를 돌릴 때, 나도 그렇게 말한다. 그럴 자격이 없다고 말하는 게 아니라, 내가 그걸 받을 자격이 없어서 하는 말이다. 나의 자격은 주는 사람이 정하는 거고, 선물은 주는 사람 마음이기는 하지만, 또 선물은 그렇게 선,하지만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중학생일 때 군대도 안 간 젊은 영어선생님이 친구가 그 선생님께 준 음료수를 면전에서 다른 사람에게 건넬 때 '준 사람 성의는 생각도 안 하세요?'라고 따진 적도 있는데, 지금은 선물이 선물이려면, 준 순간 그 사람의 처분에 맡겨지는 거라고 생각한다. 선물과 함께 건네지는 나의 마음은, 받는 사람의 마음에 빚이 된다. 

다른 의견 속에 궁금해서 적어놓은 책 '세계에서 제일 이상한 사람은 누구인가(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93478318&start=slayer)도 문화에 따라 선물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유튜브에서 은괴와 초콜릿 중에 고르라는 인터뷰 내용을 보고 초콜릿을 고른 사람이 교육수준이 낮아 은이 비싼 줄 몰라서라는 해석을 보고도(https://www.youtube.com/watch?v=ga-oNV-OVxc&t=533s) 나는 역시 의심하는 거다. 누구나 더 가치있는 걸 원할 거라는 WEIRD한 서구인의 시각이라고 생각하는 거다. 

선물하는 사람은 뇌물이 아니더라도 댓가를 바란다. 노골적이고 경제적인 무언가는 아니더라도, 최애가 내 선물을 들고 사진이라도 SNS에 올려주기를 바라는 거 같은 것. 그게 어렵나, 하면 되지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는 참. 

지금의 나는 선물이 선물이려면, 건네 준 순간 모든 처분은 상대에게 있다는 걸 받아들인다. 

그리고 선물은 어쩌면 우월감의 표현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 속의 저자가 가지는 슬픈 마음-나는 이런 작은 선물조차 할 수 없는가-은, 선물을 하면서 느끼려는 어떤 뿌듯한 마음이 좌절되서라고 생각하는 거다. 늘 무언가를 받던 작은 존재였다가, 이제 줄 수도 있는 존재가 되면 스스로 기분이 좋은 걸 안다. 

선물은 '내가 좋아서 하는 거'다. 상대가 감사하지 않아도 어쩔 수 없다. 정말 끔찍한 -바느질도 못하는 주제에 옷을 만들어 선물하려고 한 적이 있고, 1년 중 처음 생일을 맞은 언니가 언제나 그 끔찍한 선물을 수령했다- 선물을 제 기분에 신이 나서 여기 저기 뿌린 적도 있고. 남편이랑 아이들 게임 다운받아 주는 걸로 싸운 적도 있고, 어린 친구에게 '책은 싫어요'라는 귓속말을 들은 적도 있다. 내가 하는 선물에도 의도가 있고, 나는 그 의도를 자제하기 위해 노력한다. 나의 취향을 권하는 마음, 너보다 나의 취향이 나을 거라는 자부심, 같은 게 선물을 고를 때 있다는 거다. 어렵고 귀한 분께 몇 날 며칠 선물을 고르지 못하는 마음과 나보다 어린 사람에게 쉽게 골라서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마음,은 나의 우월감의 표현이고 나의 취향의 어쩌면 강권이고, 그래서 나는 쉽게 선물하지 못하는 사람이 되었다. 

무언가를 골라 선물하고 싶던 마음이, 그래 역시 돈을 주고 직접 고르라고 하는 편이 좋겠지,로 바뀌었다. 내가 엄마에게 주고, 엄마가 다시 아이에게 주는 용돈의 트라이앵글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받고 싶은 마음보다 주고 싶은 마음이 크다는 것도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