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굉장히 오글거리고 어이없는 드라마를 볼 거니까, 먼저 들어가서 자라고 남편에게 말하고 봤다. 완전 클리셰 폭탄인데, 왜 재미있을까, 생각이 많다. 

로맨스의 환상이 응축되어 드러난다. 

직장에 다니는 여자주인공은 친구의 맞선자리에 대신 나가서는 자기가 다니는 회사의 사장과 만난다. 적당히 떼어내는 게 목표였던 맞선에서, 일은 꼬여버렸다.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이 있는데 저래도 되나 싶은 설정도 보이고, 스토킹방지법도 있는데 좋아한다고 할 때까지 고백한다는 장면도 있다. 드라마 유튜버도 요즘 남자는 저렇게 고백 안 하니까, 잘 생각하고 대답하라고 조언하더라. 

시대에 뒤떨어진? 이제는 한 물 간 줄 알았던 신데렐라 설정에, 법적으로 문제삼을 수 있는 지뢰같은 설정도 많고, 완전 클리셰 폭탄인데 말이지. 그걸 재밌다고 보는 나는 뭐란 말인가. 

클리셰들에도 불구하고, 왜 좋았던 걸까. 카카오페이지까지 깔고, 원작웹소설과 웹툰도 보고 있다. 처음 깐 카카오페이지라서, 도대체 기다무는 누군데, 이 많은 소설과 웹툰을 쓸 수 있을까, 오해했다. (기다리면 무료,의 준 말이었다.) 인스타에 김세정과 안효섭과 설인아와 김민규를 팔로우 추가도 했다. 

그걸 다 보고 뭔가 분석적인 글을 쓰려고 했으나, 내가 무슨, 싶어서 그냥 쓴다. 


읽으려고 쌓아둔 책 중에 '충분히 좋은 엄마' 본문은 '새엄마에 대한 이야기들이 사라진다면, 새엄마에 대한 편견이 사라질 거라는 사람이 있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로 시작한다. 정확한 인용은 다음에 기회가 되면 하고 싶다. 사람들이 이렇게까지 새엄마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하는 것에는 그 이야기가 어떤 면을 비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나는, 내가 좋아하는 이 신데렐라 스토리의 클리셰도 무언가 그런 게 있어서일 거라고 생각한다. 클리셰 안에, 무언가를 담고 있다. 그건 사랑의 본질일 수도 있고, 사람들이 추구하는 무엇일 수도 있다. 


드라마와 웹소설을 비교하다가, 둘 다 뭐가 좋았던가 생각하다가, 여성과 남성의 전형적인 어떤 태도들에 눈이 간다. 현대인들은 수동성보다 능동성을 선호한다. 능동성을 고양시키라고 그게 강한 거라고, 그런데 나이먹고 늙어가는 중인 나는 수동성이 더 강할 수 있는 순간들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애초에 태어난 건 자체가 나의 선택이 아니고, 나의 가족이 나라가, 고향이, 시대가 나의 선택이 아닌데,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그 삶은 얼마나 가능할 수 있겠나, 싶은 순간들이 있다. 살아간다는 것의 수동성 가운데서, 일찌감치 마음을 정하고 돌진하는 남자 주인공과, 상황에 떠밀려 휩쓸리는 여자 주인공의 이야기를 보는 거다. 나쁘지 않아, 삶의 파도에 휩쓸리는 것이,라는 마음이 된달까. 휩쓸리는 파도 속에 사랑이 꽃피는 로맨스의 세계라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inkIU 2022-04-29 11: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기다무는 누군데 ㅎㅎㅎ 넘 귀여우셔요
사내맞선, 저도 넘 잼나게 읽고 봤어요. 클리셰 범벅도 캐릭터, 스토리가 좋으면 충분히 즐길수 있는거죠

별족 2022-04-29 11:34   좋아요 0 | URL
웃어주셔서 감사^^. 웹소설과는 많이 달라서 실망하는 원작 팬들도 많다던데, 드라마도 재밌게 보셨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