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른 의견 - 싸우지 않고, 도망치지 않고, 만족스럽게 대화하기 위한 9가지 원칙
이언 레슬리 지음, 엄윤미 옮김 / 어크로스 / 2021년 10월
평점 :
노조사무실에 사달라고 하고, 내가 빌려 읽었다.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과 대화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다. 몰라서 못하는 건 아니다.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역지사지-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해라-나, 쥐도 궁지에 몰리면 고양이를 문다-그러니까,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어 둬야 한다-,나 상대에게도 체면이란 게 있다,는 이야기. 서로 다른 우주를 가진 상대를 인정하고, 궁금해하면서 진실하게 대화하라는 이야기. 그래야 겨우 조금이나마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는 이야기. 그게 책 한권에 가득찬다. 성공한 이야기도 실패한 이야기도 그 안에 있다.
뭐 몰라서 못하나, 싶은 이야기를 내가 스스로 확신에 차서 상대를 몰아붙이지는 않는가 생각하면서 그래도 끝까지 읽었다. 내가 말만 많고 행동은 굼뜨는 한심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면서, 갈등상황에서 내가 어땠는지 또 생각했다. 결국 실패한 설득에 대해서도 생각했다.
레딧에 있다는 'Change my view'라는 포럼(https://www.reddit.com/r/changemyview/)과 서양의 교육받고 산업화된 민주사회에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이상한 사람들인지 썼다는 '세계에서 제일 이상한 사람은 누구인가(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93478318&start=slayer)라는 책이 궁금해서 검색도 했다.-번역된 책은 없는 거 같다-.
반납해야 하는 책이라서 포스트잇을 떼어내면서 옮겨 적는다.
감정은 이성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 그게 감정이 감정인 이유다. 그런데 우리는 왜 사람들에게 어떻게 느끼라고 가르치려 하는가? 우리가 이성적인 설득의 힘을 과신하는 것과 갈은 이유에서다. 다른 사람들도 나처럼 복잡한 진짜 마음을 가졌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것이다.-p169~170
힘의 역학관계에서 불리한 편에 서는 데 익숙한 사람들은 타인의 마음을 잘 읽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대화를 나눌 때 관계의 상황을 읽어낸다. 심리적 통찰을 영향력으로 바꾸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p192(넬슨 만델라가 빌욘을 만나는 장면에 보탠 말)
상처 입은 사람들은 위험하다. 폴리스 솔루션스의 강사 마이크 오닐은 멤피스에서 만난 교육생들에게 현직 경찰 시절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동료 경찰관들이 수갑을 찬 용의자를 친구나 가족 앞에서 구타하는 경우를 보았다고. 이는 잘못된 행동일 뿐만 아니라 어리석은 행동이다. 체포 현장에서 모욕을 주는 것은 '당신의 동료를 죽일 수도 있는' 행동이다. 강의실에 무거운 웅성거림이 퍼져나갔다. 용의자들은 모욕당한 것을 잊지 않는다. 몇 년 후에라도 경찰에게-어느 경찰관에게라도- 되갚아줄 기회를 찾는다. 역사를 공부한 사람이라면 익히 알고 있을 패턴이다. -p199
그러나 기후변화와 같은 문제는 정확한 정보를 안다고 해서 눈에 보이는 이익을 바로 얻지 못한다. 반면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는 쪽의 신념을 표출하는 것은 즉각적인 이익을 준다. 소속감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옳은 편에 서는 것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신경을 많이 쓴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온 신념을 바꾼다는 것은 그 신념을 공유해온 사람들을 잃게 되는 일이다. -p236
리스트는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고객에게 사과를 한다면 그들이 우버를 다시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우버 경영진을 설득하려면 사과의 가치를 숫자로 환산해 제시해야 했다.-p258
이건, 왜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서구식으로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어떤 것이라서 남겨놓는다. 우리는 알고 있지만, 이런 것을 요구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국가와 조직의 경영자가 위원회가 내리는 어떤 판단에 그건 아니지 않냐고 말만 해서는 아무 것도, 아무도 듣질 않아서 그런 다는 걸, 나도 알고는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협상을 지켜볼 관중도 없을 것이었다. 뢰드-라르센은 워싱턴 평화 회의에 쏟아지는 대중의 관심 때문에 대화가 양극화되는 것을 지켜보았다. 이스라엘 사람들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고국에서 지켜보는 관객의 존재를 의식하고 있었다. 체면을 지켜야 한다는 강한 압박이 있었다.-p269-270
우리는 질서를 추구하는 동시에 자유를 추구한다. 우리가 양편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너무 멀리 갈 때 문제가 생긴다. 질서가 지나치게 강한 사회는 숨 막히고 억압적인 곳이 된다. 일관성이 없는 사회는 불안하고 생경한 곳이 된다. 정신 건강의 문제는 질서를 너무 강하게 추구(강박증)하거나 카오스를 추구(정신분열증)할 때 생긴다. - p279~280
의견 대립이 유혈 스포츠가 될 필요는 없지만, 피를 전혀 묻히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서도 안 된다. 모든 공공의 논의가 디너파티에서의 대화처럼 매끄럽게만 흘러간다면, 고통스러운 비명과 분노의 외침은 듣지 못하게 될 것이다. 가끔은 어떤 규칙을 어기고 있는지, 누구의 감수성을 다치게 하는지에 대해 너무 많이 생각하지 않고 논쟁에 뛰어들어야 할 때가 있다. - p340
정중함은 표피적인 것이나 겉치레가 아니다. 공통의 규칙을 지킨다는 것은 칼 턴불의 실험이 보여주었던 것처럼 잘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 자유롭게 대화가 흐르도록 열어주는 것이다. 언어학자 로빈 레이코프는 정중하게 행동하는 세 가지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강요하지 말 것. 선택지를 줄 것. 상대방을 기분좋게 할 것. 나는 이 가이드라인의 간결함이 마음에 든다. -p350
핵심원칙
먼저, 유대를 만들라.
줄을 놓아주라.
체면을 세워주라
나의 이상한 점을 먼저 보라
호기심을 가지라
실수를 기회로 만들라.
대본에서 벗어나라.
제약 조건을 공유하라.
목적 없이 화내지 마라.
진심으로 행동하라.
* 좋다면서도 별을 하나 깎은 건, 서양인 저자의 최초의 최고의,라는 식의 어떤 말들이 서구식이라서. 재수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