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을 넘는 한국인 선을 긋는 일본인 - 심리학의 눈으로 보는 두 나라 이야기
한민 지음 / 부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인 저자의 책을 읽을 때, 계속 질문하게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정말 그래? 정말? 이게 주류라는데, 동의가 되지 않는 순간이 많았다. 국경이 사라진 세계 가운데, 거대한 도시들이 있고, 모두가 흐르는 하나의 방향은 있는 것 같지만, 여전히 조금씩 다른 부분들, 결코 서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돌출하는 순간들이 있다. 왜 그런가, 의문을 가지고 이런 책들을 읽는다. 

결국 상대적일 수 밖에 없는 해석들이다. 크다와 작다, 던지 친절하다와 무뚝뚝하다,던지 모두 비교대상 가운데 드러난다. 나는 안 그런데,라는 말은 필요하기도 하고 필요하지 않기도 하다. 이런 책을 읽는 건,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흐린 배경처럼 두기 위해서다. 나는 이런데, 왜 너는 저런 거야, 라고 이해하지 못 해서 답답할 때, 아 저 사람은 여자고 ESFP고, 서양인이고, 부모님이 이혼했고, 미혼이구나,라고 이해해주려고 읽는다. 다 그럴 수 있으니까, 받아들이기 위해서 읽는다. 수도 없이 묶일 수 있는 나라는 정체성의 범주 가운데, 드러나는 특질들일 수 있다고 받아들이기 위해서 받아들이고 다시 대화하기 위해서 읽는다. 혹은 마구잡이로 들어온 어떤 해결책이 여기서 작동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서도 읽는다. 저기서는 작동했다는데, 여기서는 왜 작동하지 않는가. 동양과 서양의 비교도 아니고,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과 우리나라의 비교다. 그래서 더 재미있게 읽었다. 더하여, 내가 한국여자라니 멋진데,라고도 생각한 거 같다. 

세계의 문화를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한 홉스테드에 따르면, 일본은 굉장히 남성적인 사회로 꼽힙니다. 반면에 한국은 여성적인 사회로 분류되는데요. 의외라고 생각하시는 분 계실 줄 압니다.

홉스테드의 남성성-여성성 구분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의미가 아니라 의사소통 방식에 가까운데요. 어떤 주장이나 의견이 좀 더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쪽이 남성적, 대안을 좀 더 고려하고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는 방식이 여성적이라고 규정되는 것이죠.

홉스테드는 다른 여러 요인을 분석하여 남성적 문화는 남녀의 성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사회, 즉 남자는 자기주장이 강하고 거칠고 물질적인 성공을 추구하는 반면, 여자는 보다 겸손하고 부드러우며 삶의 질에 관심을 두는 사회라고 정의했습니다. 여성적 문화는 사회적 남녀 역할이 중첩되는 사회, 즉 남성과 여성이 모두 겸손하고 부드러우며 삶의 질에 관심을 두는 사회라고 보았죠. -쎈 언니들의 나라 한국, 귀여운 소녀들의 나라 일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