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피면 달 생각하고 달 밝으면 술 생각하고

꽃 피자 달 밝자 술 얻으면 벗 생각하네

언제면 꽃 아래 벗 데리고 완월장취하리오 - 영조시기 시인 이정보의 시,라고 합니다.


"뒷배도 없는 향암 주제에 무엇을 할 수 있느냐?" 라고, 막 과거에 급제한 초짜 관리(남영-유승호 분)에게 금주령 하에서 신분을 감추고 술을 마시러 돌아다니는 젊은 세자(이표-변우석 분)가 말한다. 모르는 말이라 검색했다.

향암-시골 구석에 있어서 온갖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음. 또는 그런 사람(다음 국어사전)

촌뜨기,를 이르는 말이구나. 아마도 그런 뜻일 거라고 생각하면서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동시대라고 해서 사람의 삶이 균질하지 않다. 

선진국이라고 해서 모두가 같은 삶을 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야기들이 전해질 때 그 맥락이란 걸 그래서 완전히 알 수 조차 없다. 동시대, 같은 공간에 있다고 해도, 세대나 환경에 따라 느끼는 것도 다르다. 모두가 같을 거라고, 생각하는 건 오해를 쌓는다. 모두가 같을 거라고, 모두가 안다고, 그래서 믿는 사람 대신, 사리에 어두운 촌뜨기의 스스로의 믿음이 오히려 세상을 바꾼다. 말들의 파도에 타기보다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한다. 남영이 로서를 만나 금주령을 없애기로 결심하는 것처럼, 스스로의 믿음 안에서 다른 답을 찾아내야 한다. 

금주령,에 대한 말들로 정치를 말하는, 조선시대지만 왕이 특정되지는 않는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다. 금주령,이라서 본격 술 권하는 드라마처럼도 보인다. 오랜만에 기다려 본방을 봤다. 젊은이들이 세상으로 나아간다. 스스로의 믿음이 부딪치고, 깨어진다. 

사람은 우정과 사랑 덕분에 단정함 대신 혼란을 참아낼 수 있게 된다. 그렇게 자라고, 그렇게 살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