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나게 보고 있다. 돌리면 재방이 나오는데, 나올 때마다 기다려서 둘이 나누는 대화들을 듣는다. 

'저하의 사람이지만, 제 전부가 저하의 것은 아닙니다'도 좋고, '우리가 귤에 대해 말하는 게 맞느냐'도 좋고, 아주 좋다!!!


그런데, 이런 나도 처음에 거슬려서 계속 볼까 말까 고민한 부분이 있었다. 내가 거슬린 거 두 가지는 굉장히 사소하다. 

하나는 어린 동궁이 요를 깔고 누운 방이 마루방이던 것, 이다. 한옥에 대한 책에서-출처를 찾다가 포기했다- 한옥에서 사람이 자는 방은 언제나 온돌이어야 한다,는 말이 있었다. 사람에게는 온돌방을 주는 거라고, 분명히 봤는데. 찾을 수가 없다. 그런데, 세손저하가 감기에라도 걸렸는지 아픈데, 그 방이 마루방인 게 너무 거슬린 거다. 콩댐을 한 노란 온돌방이 아니라, 검은 나무로 짠 마루방에 귀한 사람을 눕힌다.니. 

다른 하나는 마룻방에 눕힌 동궁의 요가 비단 면을 위로 오게 한 거였다. 어렸을 때 엄마가 이불잇을 시침하는 걸 봤는데, 요를 저런 방식으로 깐다고? 실용적이지가 않잖아,라면서 불편했다. 사람의 몸이 닿는 부분이 비단이 닿는 것은 부유한 사람들의 방식인가? 왜 그러는 거지? 

그 두가지가 무척 거슬려서 옛날 사극도 찾아보는 지경. 눈이 시원하게 공간을 넓히려니 온돌의 공간을 쓰지 못한 것인가. 만드는 사람들의 이유가 많이 많이 궁금하다. 어디다 물어보면 말해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