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마을 차차차, 재방을 보고 있었다. 남편도 아이도 있는 거실에서 나만 집중하는 드라마기는 하지만, 그 장면은 남편도 아이도 보여주고 싶지 않아서 얼른 돌렸다. 그 건 거의 둘째 아이 산달이 다 된 보라 엄마가 남편에게 신발끈을 묶어달라고 하는데 거절당하고 이어지는 장면이었다. 남편은 처음에는 거절했다가 바로 다시 묶어주려고 하면서 '얼른 아기가 나와야지, 그래야 좀 편하지'라고 말한다. 임신기간 내내 이런저런 원망을 쌓았던 임산부는 '편해질 거'라는 말에 '아기가 나오면 밤에 잠도 못 자고 젖 먹이고 기저귀도 갈아줘야 되는데 그게 할 소리냐' 라면서 폭발한다. 언제나 다음은 더 낫겠지,라고 생각하는 그러니까 그 남편과 하등 다를 바 없는 나는 그 임산부의 원망이 너무 길어져서 어, 어, 어, 라면서 못 보겠네, 라고 채널을 돌렸다. 남편도 아이도 듣게 해서는 안 되는 원망이다. 나는 거기서 보라엄마가 하는 말이 '내 복에 살지요'에 어리석은 아비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 덕에 너희들이 이렇게 잘 먹고 잘 사느냐,라고 말하는 아비. 아첨을 바라는 아비같다는 생각이 드는 거다. 

나의 노고를 알아달라, 그러니까 내게 잘해라,라는 의도의 말들일 텐데, 과연 그렇게 전해질까. 그 말을 듣는 아이나 남편은 순순히 그렇게 들을까. 그렇게 듣는다고 해도 상대가 원하는 '잘하는 것'과 스스로가 하고 있는 '잘하는 것'사이에는 괴리가 너무 커서 정작 무엇을 해야할지 알 수 없는 말이다. 나한테 좀 잘해줬으면 좋겠다는 의도와 다르게, 그 말을 듣게 되는 아이는 나는 엄마를 힘들게 하는 짐이구나,라고 느끼지 않을까? 남편은 내가 공연히 나의 만족을 위해 아이를 원했던 건가 후회하게 되지는 않을까? 사랑하기 때문에, 쉽게 상처받는 가까운 사람들에게 의도와 다르게 전해질 수 있는 말이다. 

나는 아이를 원했다. 아이에 대해 내 아이,라는 강경함이 있어서, 아이를 막 낳고 시가에서 들은 '고맙다'는 말도 삐딱하게 듣고-이건 당시 또래의 엄마들에게 조사도 했는데, 기분이 좋지 않았다는 대답을 많이 들었다. 내 설문조사가 그렇게 설계되었을 수도 있다. 그 때 좋은 말은 '축하한다' 나 '반갑다'-, 남편이 아이를 야단칠 때는 화가 난다. 아이를 내 것으로 여기는 나의 태도가 문제가 있다는 걸 또 알아서 경계하는 마음으로 주의하고 있다. 

살아갈수록 말하는 게 쉽지 않다. 원래도 재밌게 말 잘 하는 사람인 적은 없지만, 늘 재밌게 말하는 사람들을 선망해왔다. 재밌게 말하려면 듣는 사람들을 고려해 말의 결들을 바꿔야한다. 엄마들끼리 웃을 수 있게 과장도 섞고 좀 더 센 표현들을 선택해서 이야기를 한다면 좋겠지. 그렇지만 그런 이야기를 아이들 앞에서나 남편 앞에서 할 수 없기도 하다. 게다가 나는 각각의 순간에 다른 방식으로 하는 말들도, 결국 꼭 한 사람의 청자, 바로 내가 듣고 있어서 쉽지가 않다. 내 마음의 작은 조각을 부풀려서 재미나게 들려준 것일지라도, 듣고 있는 내가 있어서, 이걸 아이 앞에서는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내가 듣고 있어서, 나는 어딘가 내 자신이 어그러진 기분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나는 결국 재미없게 들리는 민숭맨숭한 말들을 겨우 하는 재미없는 아줌마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