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해방 후 조림성공에 대한 자료를 봤다.(https://gang8806.tistory.com/886)

과거에 우거진 숲을 상상하지만 과연 그랬을까에 회의하는 내용이었다. 난방과 요리, 건축에 나무를 사용하는 경제에서 숲이 과연 있을 수 있었을까 질문하고 시작한다. 

조선잡사를 읽을 때도, 나뭇꾼은 한양도성 내 숲에서 나무를 할 수 없었다고, 더 멀리 나가 나무를 해서 팔아야 했다고 묘사한다. 인구가 늘어나고, 밀집되는 도시에서 어떤 에너지원을 쓰는지는 중요하다. 

자료 속에 60년대 70년대 나무 하나 없는 산들의 풍경과 휘몰아치는 조림의 역사가 나온다. 

보면서,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생각이 났다. 

그 책 속에서, 요리를 위해 나무를 쓰는 아프리카의 도시들에 대한 묘사가 나온다. 나무로 요리하는 도시들이 있는데, 어떻게 나무를 숲을 보호할 수 있겠냐고 항변하는 글이다. 발전소를 지어서 에너지원을 바꿔야 하는데, 그걸 종말론적 환경론자들이 그걸 막고 있다는 내용이 있다. 

월드뱅크가 나무를 심으라고 돈을 줬구나. 많은 나라들이 그 돈을 착복하고 나무를 심지 않았었구나. 우리 나라도 나무를 심는데 안 쓰고 시멘트공장과 연탄공장을 만들었구나. 그러고 월드뱅크 사람들에게 설명했구나. 나무로 집을 짓고, 나무로 난방을 하고, 나무로 요리를 하는데, 지금 그 돈으로 나무를 심는다한들 나무가 자라서 숲이 될 수가 없다, 석탄을 캐서 연탄으로 난방을 하고 시멘트로 집을 지어야 숲이 생긴다고. 그리고, 우리는 지금의 삶을 지금의 숲을 가지게 된 거구나. 자료 속의 경쟁하는 공무원도 재미있지만, 우리의 지금 산업화는 이미 산업화된 나라들의 돈이 마중물이 되었다는 걸 깨닫는다. 그 돈이 마중물이 되어, 잘 잡은 방향 위에 겨우 올라선 현재가 있다. 지금 우리나라와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는 나라가 또 있을까.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에 석탄발전소를 짓기 위한 투자가 좌절된다. 기후악당이라는 묘사 뒤에 아직 가난한 나라들의 에너지전환을 지원하는 비용이 꺽인다.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그 단계라는 게 있어야 하는 거라는 생각을 했다. 풍요롭지 못하면 정치적 억압에 저항하지도 못하는데, 에너지전환이 없이 나무로 요리하던 상황에서 벗어날 수는 있나. 

우리가 석탄으로 난방하고, 석유나 가스로 요리하게 된 그 전환의 순간이 그 곳에도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 

지금 우리가 가졌던 어떤 단계나 과정을 다른 나라들이 가질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