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환의 시대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8월
평점 :
소련이라는 나라가 있었다. 노동의 소중함, 가족의 소중함, 연대와 이상에 대해 '말'하는 나라였다. 이제 소련이라는 나라는 없다. 인재시교를 읽다가 알게 된 수호믈린스키의 동화집을 읽고 서평을 썼었다.(https://blog.aladin.co.kr/hahayo/12131611) 인재시교의 모든 교육적 조언에 동의하지만, 그 교육적 조언 바탕에 깔린 공산주의 동화의 세계에 완전히 동의할 수 없었다. 엄마로서 아이를 키울 때 가져야 하는 마음과 아이가 사회에 나가서 살아가야 할 때 마음이 같을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족을 꾸리고 아이를 낳아 기르면서, 내가 가족의 기준,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아빠에 비해 엄마인 내가 가족의 도덕률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면서, 내가 부모가 되기 전에 가졌던 이상적인 조직,을 내가 만들 수 없었다. 왜 내가 동생에게 양보해야 해!라는 큰 아이의 항변에 설명의 말을 찾지 못하는 순간이나, 누나가 무섭게 말한다고 우는 동생에게 역시 할 말을 찾지 못한다. 때리지도 않고 욕도 안 하면 좋은 사이인 거라는 외부자의 조언을 듣기도 하고, 엄마로서 모두 중재하지 못하는 가운데, 형제 간의 서열이 좀 작동했으면 하고 바라기도 한다. 큰 아이가 작은 아이를 조금은 돌보기를 기대하고, 너무 작은 다툼은 알아서 좀 해결했으면 하고도 바란다. 100대 0은 없는 책임 소재에 대해 엄마의 심판을 원할 때, 내가 늘 비판하던 양비론자가 되어 있는 나를 발견하기도 한다. 큰 아이의 '왜 동생을 돌봐야 하지'라는 억울은 당연하고, 작은 아이의 '왜 누나 말을 들어야 하지'라는 억울도 어쩌면 당연하다. 가족 내에서 조차 이상적이지 않다. 내가 행사하는 권력이 있고, 가족 내에 위계가 분명히 있다. 위계없는 조직, 동등한 권력을 가진 평등한 조직,을 나는 내 가족으로도 만들지 못했다.
책을 읽으면서, 도대체 왜 남의 나라 이야기를 이렇게 나쁘게 계속 하지,가 되서 사실 좀 화가 났다. 아마도 언론에 실렸을 칼럼이었을 텐데, 너무 지나간 이야기기도 해서 지나간 이야기처럼도 들리고 정말 그러한가 계속 의심이 생겼다. 내 가족조차도 그렇게 만들지 못한, 그러니까 그런 이상적인 조직의 전망이 없는 나는, 그래 도대체 네가 사는 그 나라는 얼마나 평등하길래 그런 것이냐,-노르웨이를 검색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B%A5%B4%EC%9B%A8%EC%9D%B4 , 우선 왕정이네, 참 나, 민주주의 지수가 제일 높다는데, 뭐 그런다고 문제가 없겠어?- 라는 삐딱한 심사가 되는 거다. 저자는 소련에서 태어나서 자라 이상적인 국가의 상이 있는가, 생각한다. -막 위키에서 검색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B%85%B8%EC%9E%90 - 한국 국적을 가졌으니 우리나라 사람이기는 한데, 나고 자라서 이 땅을 벗어나지 못한 사람으로서 계속 다른 나라에 비해서 이 나라는 이상하다는 말을 자꾸 들으니 막 짜증이 났다. 소련이 정말 좋은 나라였어도 이미 사라졌으니, 국제 질서 상에서 그런 이상적인 태도는 유지할 수 없었던 거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미 존재하는 동안에도 억압적이었고, 문제가 많았으니 유지할 수 없었던 게 아닌가 생각하고도 있다. 내 자신이 가족 내 도덕률의 기준이라고 생각하면서 가끔 내가 아이들을 억압할까봐 근심하는 나는, 더 큰 조직이 수호믈린스키 동화 속의 이상적인 태도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자신이 없다. 책을 읽으면서 계속 공산주의 동화를 들으면서 자란 어른이 어떤 태도를 강요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우리나라가 그렇게까지 나쁘다는 생각이 안 든다. 이 정도 혼란도 이 정도 미친 놈도 없는 세상이 있는가, 싶은 거지. 미친 놈 한 둘을 들어, 여기가 군사화된 나라, 비민주적인 나라라고 부르는 게 맞나, 싶은 거다. 솔직히 말하자면 '민주주의'에 대한 의심도 솟구치는 중이기는 하다.
내 가족도 이상적이지 않고, 위계나 권력 편중-지금의 나는 권력 편중이 어쩌면 헌신의 댓가라고까지 생각하고 있다.- 이 없는 조직이 가능하다는 생각조차 없다. 게다가 책이 나왔던 2018년이 아니라 코로나19가 헤집어놓은 2021년에 보기에 우리나라는 꽤나 도덕적이고 이상적인 나라라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