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신연의 일송북 중국 6대 기서 시리즈 2
허중림 지음, 서지원 엮음 / 일송북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점심에 산책을 하는데, 이 북으로 빌려서 읽었다. 

중화티비의 봉신연의를 드라마로 본 기억이 있어서, 지금도 끊임없이 재창작되는 오래된 이야기가 궁금했다. 은나라의 마지막과 주나라의 처음이라는 역사적 배경에 온갖 요괴들이 등장하고, 도교의 신선과 도사들, 부처님도 등장한다. 이야기의 시작이 신에 대한 경외심을 잃은 황제에서 출발하는 것은 상징적이고, 요괴들까지 두 나라의 흥망에 관여하고 있다는 설정에 계속 상상한다. 그 때 사회상은 어땠을까. 지금의 사회상이 어떤 소설에 투영되어 남을 때 어떨까. 그 때의 사회상에 묘사되는 요괴는 어떤 것들이었을까. 도사나 신선은 도대체 어떤 존재들이었을까. 어떤 존재들의 어떤 믿음들이 혼란 가운데, 이런 이야기로 만들어져 남았을까, 궁금했다. 나타의 이야기가 언급되는 대목도 즐거웠고-나타지마동강세, 만화 이야기를 유튜브에서 봤었다-, 양전과 강태공의 이야기는 드라마에 어땠었나, 되짚어가기도 했다. 달기의 이야기는 드라마와 다르네,라면서 읽었다. 수도 없이 다시 만들어지는 거대한 이야기, 한 토막만을 들어내어도 이야기 하나를 만들 수 있는 이야기, 모른다고 해도 토막토막 과연 몰랐는가 싶은 이야기를 전투소설이나 요괴소설이나 가상역사소설로 읽는 거다. 

구구절절 한사람 한사람을 말하고 있지 않아서, 휘몰아치는 전개가 -어쩌면 그건 내가 다이제스트로 읽어서겠지만- 즐거웠다. 이렇게 긴 역사 가운데, 백년이라고 해도 그리 긴 이야기일까 싶기도 하고, 무에 그리 무거울까 싶기도 해서, 즐겁게 읽었다. 

국가, 거대한 제국인 중국의 종주국이 뒤바뀌기 위해서 벌어진 거대한 이야기에는 종교적 전복도 있을 테고, 무수한 이민족의 귀신들이 요괴의 형상으로 복종하는 모습이 있는 것도 같다. 이야기로도 이야기가 은유하는 현상을 상상하는 것도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