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란 뭘까. 나는 내가 하는 말도 멀지는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조심한다. 정부를 비판하는 말들의 거울에 나를 비췄을 때, 내가 그러지 않는가. 회사를 비판하는 말들의 거울에 나를 비췄을 때 나는 그러지 않는가. 아이들을 아직 가정보육해야 했을 때, 회사에 다니는 다른 엄마가 '선배, 너무 페이 올리지 말아요, 우리가 힘들어요'라고 했다. '우리'라는 말이 가지는 무게 때문에, 나는 그 엄마와 나의 '우리'와 아이를 셋이나 계속 봐주고 계신 아주머니와 나의 '우리'를 저울에 달았다. 그 말을 듣고 '우리'의 무게를 가늠하면서 비약이 심한 나는, 그래서 아마도 사장님들은 노동자에게 그렇게 구는 거겠지,라고도 생각했다. 작은 회사라서 직원과 사장이 묶이는 우리,가 더 강경하다면, 사장님들끼리 모여앉아 가지는 '우리'라는 감각을 앞지를 수도 있겠지. 항상 노동자라고 내 스스로를 정의하면서 생각하던 방식이, 아이들을 맡기면서 어그러졌다. 나는 그 상황에서 고용한 사람이 되고, 내가 고용된 사람이었을 때 요구하고 주장하던 그 많은 걸, 나는 내가 고용한 사람에게 해 줄 수 없다는 걸 알았다. 그걸 원하는 아주머니였다면, 욕했을 거야. 뭐 이런 생각도 하고, 그러면서 나의 요구는 괜찮은가, 또 생각했다. 5인 이상 사업장,이라는 노동법의 많은 단서 조항이 약한 노동자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말에 수긍했었는데, 지금은 모르겠다. 사업주,라는 이름 뒤에 가려진 사람이 보였다. 입장은 점점 흐릿해지고, 신문기사는 뭔가 잘못 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고, 가끔은 큰 회사의 노동자들이 압력을 행사해서, 작은 회사의 이문이 줄어들고 있다고도 생각하게 되었다. 

'한 번 다녀왔습니다'가 재밌다길래, 우선 짤들을 몇 개 보고, 지난 일요일에는 본방을 보았다. 오랜 물장사 이력을 접고 시장에 김밥집을 차린 이정은(극 중 이름을 모르겠다)이 문제적인 호객-헐벗은 여종업원을 동원해서 호객한다. 나는 그럴 수는 있지만, 맛도 없는 김밥을 그런 호객에 줄 서서 먹는다는 것이 남자들에 대한 모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벌써 문제삼는 사람들이 많았고, 정리되고 있다-을 해서 대립하는 장면 다음에 시장 상인회 장면이 나왔다. 상인회 가입조건으로 여러가지를 시정하려는 시장의 여자들이 등장하고, 그렇다면 상인회에 가입하지 않겠다는 장면이 나온다. 결국 시장 쓰레기장 아닌 먼 데 쓰레기장에 가야 하고, 상인회 발급 상품권 교환도 불가능해지고, 방역에 제외되면서 김밥집은 조건을 수용하고 상인회에 들어간다. 나는 공연히 사람들이 김밥집에 이입할까 걱정하면서 본다. 김밥집 여자들이나 대립하는 시장의 여자들이나 묘사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 시장의 남자들은 여자들끼리 화해해야 할 기싸움으로 보고 뒤로 빠져있고, 여자들끼리 오직 여자들만 김밥집에 몰려가서 문제삼는다. 그건 흔히 하는 묘사처럼 여성혐오적이다. 김밥집의 호객행위가 시대에 뒤처진 묘사라고 생각하는 나도, 시장의 여자들처럼 굴었을 것도 같다. 그렇지만, 다시 내가 해 온 많은 말들을 생각해보면, 그걸 원한다고 해서 조건을 달거나 배척하는 것에 반대해왔다는 것도 알고 있다. '우리'라는 말 안에 단정한 사람을 원한다고 해서, 단정하지 않으면 '우리'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에도 찬성하지 않았다. 

'우리'라는 경계 안과 밖은 달라야 한다. 상인회 소속 상인들이 누리는 여러가지는 무엇때문에 가능한 걸까. 회비를 냈을 수도 있고, 회의에 참석해서 의견을 냈을 수도 있다. 상인회 바깥의 상인이 상인회에 들어가고 싶어하는 것은 자신의 필요에 의해야 하지만, 그 많은 것들이 그냥 주어지는 것일 수는 없는 거다. 정치란 그런 부분들에 있다. 모임이란 그런 용도로 만들어지고, 모임에 속한 사람이 지는 책임과 얻는 이득의 균형사이에 모임은 자란다. 모임에 속하면서 크고 작은 정치를 훈련하게 된다. 학교나 직장, 국가 수많은 우리의 경계에서 '우리'의 조건을 걸고 의무를 요구하면서, '우리'는 '우리'가 되는 거다. 속하고 싶지 않다면 감당해야 하는 불이익이 있고, 그건 어쩌면 당연하다. 누군가 선악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다. 조건을 달고 상인회 가입을 찬성하느니 마느니 하는 것보다 나는 차라리, 상인회에 가입하면 이득과 손실에 대해 묘사해주기를 원했다. 가입할 때 내야 하는 회비가 있다면 것도 설명해주고, 이용할 수 있는 것들과 해야 할 책임들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그런 과정에서 보는 사람들이 너무 부당하지는 않다고도 생각할 수 있게 했으면 좋았겠다 생각했다. 그렇다면 드라마가 아니라, 무언가 선전물 같았겠지. 드라마는 묘사하고 있지만, 전부를 묘사하지는 못한다.

삶은 드라마의 묘사보다 복잡하고, 매 순간 내가 속한 '우리'를 저울질한다. 저울질하는 순간마다, 마음이 나의 단단한 마음이 중심을 잘 잡고 있어야 자기 자신을 감당할 수 있다. 내 마음을 내가 감당할 수가 있으려면, 좀 더 단단한 나의 중심이 늘 내 안에 있어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