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내지 않기 - 혹은 사라짐의 기술
피에르 자위 지음, 이세진 옮김 / 위고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내 옆에 A가 B에게 '그런데, 왜 채식해요?'라고 물었다. 나는 어어, 그런 질문은, 이라고 말리려고 했다. 불편하면 대답하지 않아도 된다고. B는 '아니에요, 동물권 때문이에요'라고 조금은 길게 대답했다. 나는 B가 대답하는 동안, 아 내가 대답하지 않기를 바란 것은 내가 불편했기 때문이야,라고 생각했다. 육식의 종말,이란 책에 내가 관심을 보였을 때 친구가 '야, 밥만 잔뜩 먹는 한국사람이 무슨 육식의 종말이야?'라길래 그런가,싶었던 이후로 나는 서양인의 그럴 듯한 말들에 경계하고 있다. 불자의 채식,에는 그러려니 하면서도 다를 바 없는 비거니즘에는 짜증이 난달까. 그런데, 둘 사이에는 어떤 태도의 차이가 있다는 거다. 이미 존재했는데, 트렌디한 어떤 것을 선택한 태도 드러내서 과시하는 태도 같은 것 때문에 나는 영 선선해지지 않는 거다. B의 대답을 듣는 동안, 나는 '나는 고기 없으면 못 사는 육식주의자'라고 밝히고 질문한 A가 기분이 나빠질까봐 나는 불편했던 거다. 이 얘기를 하고 싶었다. 가끔 자기 주장을 선선히 밝히는 어떤 태도가 비난처럼도 들리는 상황 가운데, 그저 자신이 그렇게 사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느냐고 묻고도 싶었다. 

내 말이 '권력없는 자의 입을 닫게 하는 말'처럼 나쁘게도 들린다고 해서, 나는 나의 불편에 대해 설명할 말을 찾고 있었다. 그러다가 '이후의 삶'을 읽으면서 첫번째 인용문을 만났다. 책 제목도 나의 궁금증과 통하고, 인용문이 마음에 들었음에도 한참을 망설였다. 서양의 철학자, 특히 프랑스의 철학자가 쓴 철학책이다. 내가 기독교에 대한 편견도 많고, 서양 철학의 구분하는 태도에도 역시 적응이 어렵고 게다가 프랑스, 철학자라니, 한참을 망설이다가 구해 읽었다. 얄팍한 책을 오래도 읽었다. 그리스의 철학적 전통, 종교적 탐색, 이 한가득인데, 역시 잘 이해하기는 어렵다. 태도나 생각을 리셋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동양식으로 지행합일, 같은 태도를 수련하다가, 서양의 태도로 쓰여진 글을 읽는 것은 정말 리셋이 필요한 일이고, 계속 의문이 생기는 일이라서 이해했다고 볼 수도 없다. 그저 썩 마음에 드는 부분을 찾아 옮겨놓는데 만족한다.  


사실 겸손에는 자기모욕이 없다. 심리적인 자기모욕이든 사회적인 자기모욕이든 그런 것은 겸손과 무관하다. 겸손은 그저 타자가 가장 형편없는 인간일지라도 그에게 아직도 가치 있는 무엇인가가 있다는 섬세한 지각일 뿐이다.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 우리가 오늘날 드러내지 않기라고 부르는 것의 기원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드러내지 않기라는 경험의 중추는-아직 그 경험이 겸손이라는 이름으로 불릴지라도- 자기증오나 자기에 대한 염려와는 무관하다. 그 중추는 순전히 타자들에게로, 대타자에게로, 피조물들에게로, 세계로 향해 있다. - P92

어쨌든 이런 의미에서 드러내지 않는 영혼들은 세계의 기초라고 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우리는 열의를 갖고 그렇게 주장해야 할 것이다. 그들이 없으면 텅 빈 거울들이나 있을까, 더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들이 없으면 형상없는 질료나 있을까, 아무것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한다. 그 영혼들이 완전히 사라지는 날, 그들이 즐기는 방식대로 잠시 모습을 감추는 게 아니라 추악한 전방위적 감시 체제에 짓눌려 결정적으로 사라지는 날, 조용히 물러나 바라보는 눈, 개인의 입장을 떠나 경청하는 귀는 이제 없고 빵빵한 조명과 음향 설비밖에 남지 않은 그날에, 세상에는 아무도 없고 세상 자체도 없을 거라고 장담해 마지 않는다. - P1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